규정 ()

목차
한문학
작품
조선 중기에 이옥봉(李玉峰)이 규방 여인의 정감을 주제로 지은 한시.
목차
정의
조선 중기에 이옥봉(李玉峰)이 규방 여인의 정감을 주제로 지은 한시.
내용

조선 중기에 이옥봉(李玉峰)이 지은 한시. 5언절구로 작자의 시집인 ≪옥봉집 玉峰集≫에 수록되어 있다. 이 작품은 임을 기다리는 마음을 민간에 전하는 말을 모티프로 하여 재치있게 잘 묘사한 작품이다.

1·2구에서는 임이 떠나 갈 때 매화꽃 필 무렵, 즉 이른 봄에 온다고 하더니 매화가 다 떨어지도록 오지 않는 상황을 이야기하였다.

3∼4구에서는 이러한 기다림의 정한을 읊었는데, 까치가 울면 반가운 손님이 온다는 민간의 속담을 믿고 기다리던 임이 혹시 올지도 모른다는 기대를 하며 화장을 하는 모습을 그렸다.

그러나 이 시의 묘미는 그 화장이 헛것인 줄을 번연히 알면서도 한다는 마지막 구절에 있다. 즉 마지막 구절에서 작자는 까치가 우는소리를 듣고는 또 “거울 속의 눈썹을 부질없이 그리고 있다.”고 하였다.

이로 보아 작자가 까치가 우는 소리에 화장을 한 것이 한두 번이 아니었고, 그 때마다 기대에 어그러졌던 경험이 여러 번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자칫 하면 오지 않는 사람을 마냥 기다려야만 하는 자신의 신세를 한탄하거나 기다리다 지친 푸념이나 비쩍 마른 자신의 몰골을 읊는 등 비탄조로 흐르기 쉬운 기다림의 정서를 반짝이는 재치를 통하여, 읽는 이로 하여금 절로 웃음이 나오게 하는 내용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즉, 자신의 외롭고 적막한 심경을 생활 주변의 흔히 볼 수 있는 평범한 소재를 가져다가 외롭고 보고 싶다는 표현 없이 그런 마음을 암시하고 있어, 뛰어난 문학적 재능을 발휘하여 밝고 명랑한 웃음의 세계로 승화시킨 훌륭한 작품인 것이다.

참고문헌

『옥봉집(玉峰集)』
집필자
윤호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