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권 1책. 석인본. 1937년 그의 증손인 정우(珵宇)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유승(李裕承)의 서문과 권말에 정우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고려대학교 도서관·성균관대학교 도서관·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시 21수, 서(書) 3편, 기·서(序) 각 1편, 묘지 4편, 잡저 4편, 권2는 부록으로 행장·묘갈명·지은록(志恩錄)·유장(儒狀)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학문적 내용을 주제로 한 「증자왈유(曾子曰唯)」·「독중용유음(讀中庸有吟)」 등과 「이국(籬菊)」·「원송(園松)」·「춘일(春日)」 등의 서정시, 「월선정(月先亭)」·「삼계석문(三溪石門)」 등 자연경관을 소재로 취한 것 등 다양하게 실려 있다.
서(書) 중 허진(許璡)에게 답한 글은 심성설(心性說)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전하는 편지로서, 선현들의 주장을 예시하면서 간간이 자신의 논지를 전개시킨 장편의 글이다. 또, 그의 동생인 삼환(三煥)·명환(明煥) 등에게 학문의 요령에 대해서 설명한 편지가 있다.
잡저의 「극기복례(克己復禮)」·「대학논변(大學論辨)」·「중용논변(中庸論辨)」 등은 조리분명한 논지의 전개와 아울러 정확한 편차를 정하여 놓은 점이 특색이다.
「인심도심설(人心道心說)」은 인심과 도심이 모두 이기(理氣)의 초심(初心)에서 유출되어 지각의 운동에 따라 온갖 사물에 응하게 되는 진리를 제시하여, 인심·도심의 명목은 다르나 실은 두 가지의 심(心)이 있을 수 없다고 역설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