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사기 ()

목차
관련 정보
금강경사기
금강경사기
불교
문헌
조선후기 승려 의첨(義沾, 1746~1796)이 『금강경』 제가해(諸家解)에 대하여 풀이한 주석서. 불교서.
목차
정의
조선후기 승려 의첨(義沾, 1746~1796)이 『금강경』 제가해(諸家解)에 대하여 풀이한 주석서. 불교서.
내용

1권 1책. 필사본. 당시 불교 전문강원에서는 『금강경』의 여러 주석서 중에서 양나라 부대사(傅大士)의 송(頌), 당나라 혜능(慧能)의 구결(口訣), 당나라 종밀(宗密)의 찬요(纂要), 송나라 야보(冶父)의 송(頌), 송나라 종경(宗鏡)의 제강(提綱) 등 오가해(五家解)와 조선 초기의 고승의 기화(己和)의 설의(說誼)를 채택하였다.

이 주석서 중 알기 어려운 문구와 숨은 뜻을 찾아내어 공부하는 자의 참고서가 되도록 저술한 것이다. 다만, 자기의 사견을 기록한 것이라는 겸손의 뜻에서 ‘사기’라고 하였다.

기화의 『금감경오가해설의』는 오가해의 요지를 간단, 명료하게 풀이한 것인데, 의첨은 다시 그 ‘설의’의 숨은 뜻도 밝히고 있다. 이 책은 『금강경오가해설의』에 몇 가지 과목을 설정하고 그 내용을 설명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예컨대, 함허서(涵虛序)에서 “한 물건이 여기에 있으니(有一物於此)”라 한 것을, 저자는 사기에서 “한 물건이란 곧 반야이다. 반야는 교(敎) 가운데에서 세운 말이니 말의 자취[語迹]에 걸려 있으므로 한 물건이라 하여 선지(禪旨)를 밝힌 것이다.”라고 하여 요지를 분석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유일(有一)의 『금강경하목(金剛經蝦目)』, 긍선(亘璇)의 『금강경팔해경(金剛經八解鏡)』 등과 함께 불교 강원의 『금강경』 연구에 지침서가 된다. 동국대학교 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이종익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