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계단 ()

목차
관련 정보
불교
개념
불사리를 모시고 수계 의식을 집행하는 의례 공간.
내용 요약

금강계단(金剛戒壇)은 수계를 위해 설립한 의례 공간인 계단을 가리킨다. '금강'이란 계율이 금강처럼 굳건함을 나타내는 말이다. 율장에 따르면 규정에 따라 여법하게 만들어진 계단에서 일정한 자격을 갖춘 비구들의 심사와 증명을 거치고 250여 개의 율의조문을 수지할 것을 맹세함으로써 비구가 될 수 있다. 따라서 계단은 불교의 전파와 관련하여 매우 중요한 공간이다.

목차
정의
불사리를 모시고 수계 의식을 집행하는 의례 공간.
내용

금강이란 금강보계(金剛寶戒)에서 유래된 말로 '계는 금강과 같이 보배로운 것'을 의미한다. 불사리를 모신 금강계단(金剛戒壇)은 부처가 항상 그곳에 있다는 상징성을 띤다. 불교에서는 일체의 것을 깨뜨릴 수 있는 가장 단단한 것을 금강이라 하고, 금강과 같은 반야(般若)의 지혜로 모든 번뇌를 물리칠 것을 강조한다. 그러한 지혜는 주1 · 주2 · 주3삼학(三學)으로 성취될 수 있으며, 삼학 가운데 계율이 으뜸이라 하였다. 이어 계를 금강과 같이 견고하게 보존할 수 있는 곳으로 주4를 봉안한 곳이 으뜸이라고 하였는데, 그러한 의미에서 금강계단이라고 하였다. 금강계단의 전면에는 적멸보궁(寂滅寶宮)이라는 편액을 건 전각을 건립하는데, 그곳에는 불상을 봉안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금강계단에는 불(佛)을 상징하는 불사리가 봉안되어 있어 그 자체로 예배의 대상이 되기 때문이다.

계단의 기원에 대해 확정된 설은 없다. 대체로 초기에는 별도의 계단 없이 공터에서 의식을 행하다가 주5에 별도로 흙이나 돌을 쌓아 단을 만들었던 것으로 추정할 뿐이다. 다만 남산율종의 주6주7이 지은 『계단도경(戒壇圖經)』에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나온다. "부처님께서 주8에 계실 때 누지(樓至) 비구가 단을 세워 주9주10를 행할 수 있게 해 줄 것을 부처님께 요청하였다. 이에 부처께서는 세 개의 단을 세우는 것을 허락하였다. 두 개의 단은 불원(佛院)의 동쪽과 서쪽에 두었는데 비구와 비구니의 결계를 행하는 데 사용하는 단이고, 한 개의 단은 외원(外院, 僧院)의 동문 남쪽에 두었는데 비구의 수계를 위해 사용하는 단이다."라는 것이다. 이로 인해 부처님께서 오랫동안 머물렀던 기원정사가 계단의 기원과 관련된다고 보고 있다.

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계단의 성립은 수계갈마(受戒羯磨)와 관련이 깊다. 계단은 수계 의식을 행하는 장소를 가리킨다. 율장에 따르면, 수계 의식은 10인 승가(僧迦)가 이루어졌을 경우에만 행할 수 있다. 모든 갈마는 전원이 출석하는 화합갈마여야 한다. 그러므로 수계 의식이 유효하기 위해서는 10인 승가의 경우, 10인이 모두 참석해야 한다. 만약 15인 승가일 경우에는 15인이 모두 참석해야 한다. 수계 의식이 빈번하게 이루어질 경우, 이러한 규정은 현전 승가의 구성원 전원이 모여야 함으로 수행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 계단 제도이다. 현전 승가 전원이 참석할 수 없을 경우, 주11 또는 계내(界內)에 독립적인 소계(小界)를 만들고 필요한 인원만큼 일시적으로 현전 승가를 만들어 갈마를 행하는데, 이러한 장소를 계장(戒場), 계장(界場), 계단 등으로 불렀다. '계(戒)'라는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계단은 본래 비구 지원자에게 비구계를 주는 10인 승가를 성립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다. 계외라서 경계가 확정되지 않은 곳이면 사방에 돌이나 목재같은 것으로 표식을 삼아 계상(界相)의 경계를 분명하게 만들었다. 이렇게 함으로써 20인의 승가일지라도 비구 10인의 출석만으로 전원 출석이 인정되어 수계의 유효성이 인정될 수 있었다. 이렇듯 초기에는 표식의 목적이 강했기 때문에 오늘날과 같은 고정적인 설비를 갖춘 계단이 존재한 것은 아니었다.

당나라 승려 주12은 『대당서역구법고승전』에서 인도 나란타사에 계단이 있으며, 그 형태와 크기, 중앙에는 소탑(小塔)이 있고 소탑 안에는 불사리를 봉안했음을 자세히 묘사하였다. 중국에서는 유송(劉宋) 원가 11년(434) 승가발마(僧伽跋摩)가 남림사(南林寺)에서 계단을 설립하여 수계한 것이 시초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도선은 『계단도경』에서 그보다 앞서 진(晉)의 법태(法汰), 도안(道安), 지도림(支道林), 도생(道生) 등이 계단을 설립하였다고 전하지만 이들의 계단은 승가발마의 계단처럼 그 실체를 확인할 수 없다. 당나라 건봉 2년(667년) 도선(道宣)이 장안에 있는 정업사(淨業寺)에 계단을 건립함으로써 정식으로 계단이 설립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당나라에서 불사리를 얻어 귀국한 자장(慈藏)통도사에 최초로 계단을 만들었다. 당시 통도사 계단이 어떤 형태로 만들어졌는지는 정확하게 알 수 없다. 다만 서역과 중국의 법식에 따라 불사리를 계단의 중앙에 봉안하고 2단 정도의 단을 쌓았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현재의 통도사 계단은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여러 차례 중수를 거친 것이다. 그러나 중앙에 불사리를 봉안한 석종형 주13가 있고 부도의 사방 평면에 2단의 주14이 있어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금강계단의 형태와 구조를 알 수 있다.

통도사의 계단과 함께 널리 알려진 금강계단으로는 개성 불일사(佛日寺) 계단과 비슬산 용연사(龍淵寺) 계단, 금산사(金山寺)의 방등계단(方等戒壇) 등이 있다. 용연사 계단은 임진왜란 때 통도사의 불사리 일부를 묘향산으로 옮겨 봉안한 것이며, 불일사와 금산사의 계단은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것이다. 이 중 계단 앞에 석등을 세우는 일반적인 형태와 달리 석탑을 세운 금산사의 계단은 고려시대 계단의 형식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계단이다.

참고문헌

원전

『삼국유사(三國遺事)』

단행본

사토 미츠오 지음, 김호성 역, 『초기불교교단과 계율』(민족사, 1991)
장충식, 「한국석조계단고(韓國石造戒壇考)」(『불교미술』 4, 동국대학교박물관, 1978)

인터넷 자료

기타 자료

주석
주1

삼학(三學)의 하나. 부처가 제정한 계율을 배우는 것을 이른다. 우리말샘

주2

삼학(三學)의 하나. 흩어진 마음을 한곳에 모아 번뇌에서 벗어나거나 번뇌가 없고 몸에 괴로움이 사라진 해탈ㆍ열반의 경지에 이르는 법을 이른다. 우리말샘

주3

삼학(三學)의 하나. 미혹을 끊고 진리를 증득하여 나아감을 이른다. 우리말샘

주4

석가모니의 유골. 우리말샘

주5

계를 받는 도량(道場). 우리말샘

주6

한 종파를 세워서, 그 종지(宗旨)를 펼친 사람을 높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7

중국 당나라 때의 승려(596~667). 남산종(南山宗)의 창시자로 각지에서 율(律)을 설법하고, 경전 한역 사업에 참여하였다. 저서에 ≪사분율행사초(四分律行事鈔)≫, ≪속고승전(續高僧傳)≫, ≪광홍명집(廣弘明集)≫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8

인도 중부 마가다 사위성(舍衛城) 남쪽의 기수급고독원(祇樹給孤獨園)에 있는 절. 석가모니와 그 제자들이 설법하고 수도할 수 있도록 수달 장자(須達長者)가 세웠다. 우리말샘

주9

불도를 수행하는 데 장애를 없애기 위하여 비구의 의식주(衣食住)를 제한하는 일. 일정한 장소에 거처하고, 남은 음식을 간직하여 두지 않고, 옷을 벗지 않아야 한다. 우리말샘

주10

부처의 가르침을 받드는 사람이 지켜야 할 계율을 받음. 우리말샘

주11

계는 현전상가의 공간적 개념

주12

중국 당나라의 승려(635~713). 671년 인도로 건너가 날란다에서 불교의 오의(奧義)를 닦고, 695년에 범본 불전(梵本佛典) 406부를 가지고 돌아왔다. 화엄경, 유식(唯識), 밀교(密敎) 따위의 불전을 번역하였다. 저서로 ≪남해기귀내법전(南海寄歸內法傳)≫, ≪대당서역구법고승전≫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13

종 모양으로 만든 부도.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말부터 조선 시대까지 유행하였다. 우리말샘

주14

돌로 만든 단.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3)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