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낭경 ()

목차
관련 정보
금낭경
금낭경
도교
문헌
당나라의 풍수지리가 곽박이 『청오경』의 내용을 부연하여 저술한 도교서.
목차
정의
당나라의 풍수지리가 곽박이 『청오경』의 내용을 부연하여 저술한 도교서.
서지적 사항

2권 1책. 필사본. 우리 나라에서는 728년(당나라 개원 16)에 간행된 당본을 들여와서 여러 차례 간행하였으나 규장각 소장본은 필사본이다.

내용

머리에 장열(張說)의 서문이 있고, 권상은 기감(氣感)·인세(因勢)·평지(平支)·산세(山勢)·사세(四勢) 등 5편, 권하는 귀혈(貴穴)·형세(形勢)·취류(取類) 등 3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석으로는 장열·홍사(泓師)·일행(一行)의 해설이 있다.

「기감편」에는 땅 속에 기운이 있음을 지적하고 장사를 지내게 되면 묻혀지는 시신이 땅속의 생기를 받아서 자손들이 음덕(蔭德)을 받게 됨을 강조하면서 길지를 가리는 이유를 설명하였다.

「인세」는 오행(五行)의 5기가 땅 속에 유통되고 있음을 강조하고, 그 기운이 발함에 따라 지상에 만물이 생겨남을 지적하고, 길지와 흉지가 지세에 따라 결정됨을 강조했다.

「귀혈편」은 귀한 길지를 찾는 방법을 설명한 것으로, 산세에 따라 밖으로 기가 모이게 되면 안으로 땅 속에 서기(瑞氣)가 결성됨을 강조하고, 지나가는 물은 흘러내리는 용맥을 정지시키는 힘이 있음을 지적하면서 3종의 길지와 6종의 흉지를 설명하였다. 그 밖에 「형세편」과 「취류편」에서는 부귀·빈천·대소·주객(主客) 등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 책은 『청오경』과 더불어 풍수지리가의 양대 기서로 애독되었고, 특히 도선(道詵)의 스승인 일행의 주석서라는 데서 관심을 끌었다. 뿐만 아니라 풍수지리설이 국민의 사상을 지배하다시피 한 고려 말과 조선 초기에는 많은 사람들이 이 책을 연구하여 풍수지리가가 많이 배출되기도 했다.

또한, 국가에서 실시하는 과거제도인 잡과(雜科)는 출제의 대부분이 이 책과 『청오경』에서 나온 것만 보아도 사람들이 이 책을 얼마나 소중하게 여겼는가를 알 수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규장각도서 등에 있다.

관련 미디어 (4)
집필자
권오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