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야 유적 ( )

선사문화
유적
북한 함경남도 영흥군 영흥읍에 있는 청동기시대 토기 · 청동 거푸집 · 화덕자리 등이 출토된 집터.
이칭
이칭
영흥읍(永興邑)유적
목차
정의
북한 함경남도 영흥군 영흥읍에 있는 청동기시대 토기 · 청동 거푸집 · 화덕자리 등이 출토된 집터.
내용

발굴 당시는 ‘영흥읍 유적(永興邑遺蹟)’이라고 했으나, 뒤에 북한에서 행정구역 및 명칭변경으로 금야군이 되면서 ‘금야유적’이라고 한다. 1964년에 발굴 조사되었으며, 350×150㎡의 유적범위에서 10기의 집터가 발견되었다.

집터는 움 깊이 20∼30㎝의 낮은 장방형 반움집터로 바닥에는 기둥구멍이 남아 있지 않고, 화덕자리도 2호 집터에서 1개, 10호 집터에서 2개가 발견되었을 뿐이다. 집터의 크기는 5.2∼70㎡까지 다양하다.

출토된 토기는 모래가 섞인 적갈색 민무늬토기와 고운 바탕흙의 검은 토기의 두 종류가 있다. 전자에는 젖꼭지손잡이가 달린 깊은 바리모양의 구멍무늬토기, 후자에는 평행선무늬가 시문된 미송리형 토기에 가까운 토기가 있다.

석기로는 도끼ㆍ반달칼ㆍ홈자귀ㆍ돌살촉 등과 함께 십자형 칼자루끝장식이 출토되었고, 부채도끼[扇形銅斧]ㆍ청동방울[銅鐸]ㆍ동모(銅矛)의 활석제 거푸집도 출토되었다. 청동기의 거푸집이 집터에서 출토된 것은 그 예가 드문 것으로, 청동기의 제작이 국내에서 이루어졌음을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이다.

의의와 평가

영흥읍 유적의 출토유물 중 구멍무늬토기ㆍ미송리형 토기ㆍ젖꼭지손잡이ㆍ부채도끼 등을 통해 압록강 중상류 및 두만강유역의 종족들과의 문화적 관계를 알 수 있다. 그리고 홈자귀ㆍ반달칼 등에서 중부지방 청동기시대 주민들과의 접촉도 살펴볼 수 있다.

영흥읍 유적에서 나타나는 문화유형은 금야유형문화로도 불리며 용흥강을 중심으로 한 함경남도지방에 분포되어 있다. 출토유물의 성격상 청동기시대 후기에서 초기철기시대로 넘어가는 과도기 단계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문헌

「함경남도 량강도일대에서 새로 알려진 청동기유물에 대한 고찰」(김용간·안영준, 『조선고고연구』1986년 1호, 사회과학출판사)
「영흥읍유적에 관한 보고」(서국태, 『고고민속』1965년 2기)
집필자
이형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