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두대도 ()

목차
관련 정보
환두대도
환두대도
공예
유물
문화재
신라시대의 환두대도.
목차
정의
신라시대의 환두대도.
내용

1984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길이 13.8㎝.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대도는 삼국시대 고분에서 출토되는 피장자의 신분과 권위를 상징하는 일종의 부장품으로, 이 환두대도는 출토지가 알려져 있지 않지만, 그 화려한 세공법과 용무늬장식이 주류가 된 점으로 미루어 신라시대 어느 왕릉에서 나온 것이라 생각된다.

칼의 나무손잡이 부분은 거의 남아 있지 않고, 손잡이머리장식 부분과 칼집 상단 장식만이 손잡이를 감은 3, 4줄의 나선형 선각문(線刻文) 금테와 연결되어 있을 뿐이다. 환두 안의 두 마리 용을 제외한 거의 대부분의 도금상태가 양호하고, 그 세부조각이 돋보이는 우수한 작품이다.

굵은 테로 된 고리장식의 내외단(內外端)에는 연주문(連珠文) 형식의 선각으로 장식하고, 그 사이로 용신(龍身)의 부분부분을 도드라지게 새겼다. 그리고 용의 눈에는 청색 유리구슬이 박혀 있어 화려함을 더해 준다.

태환형고리와 연결되는 손잡이머리장식의 양끝에는 중앙 연주문과 그 아래위로 빗살문을 서로 엇갈리게 선각 장식하였다. 이 양단 사이에는 고리 내부의 뒤엉킨 용과 같은 형식의 용을 고부조(高浮彫)하였는데, 세부 조법이 경쾌하고 매우 생동감이 넘친다.

중간마디인 나무손잡이 부분은 부식되었고, 그곳을 감았던 선각의 금줄이 3, 4줄 남아, 칼집머리장식과 연결되어 있다. 이곳 역시 손잡이장식과 같은 방법으로 용을 도드라지게 새겼으나, 세부 묘사에서 도금의 차이가 보인다.

백제 무령왕릉 출토의 금동환두대도에서 보이듯이 한 마리 용과, 육각의 귀갑문(龜甲文)을 장식한 것과는 무늬에서 약간 대조를 이룬다. 이 환두대도는 일련의 신라고분 출토의 환두대도와 시대를 같이하는 5, 6세기 무렵의 작품이라 생각된다.

참고문헌

『삼성미술관 리움명품도록』(삼성미술관 리움, 1982)
『한국금속공예』(진홍섭, 일지사, 1980)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최응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