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상도 ()

목차
관련 정보
십장생도
십장생도
회화
개념
현실 생활에서의 부귀와 행복 등의 염원을 사물에 의탁하여 그려진 그림.
내용 요약

길상도는 현실 생활에서의 부귀와 행복 등의 염원을 사물에 의탁하여 그려진 그림이다. 생일 축수용이나 새해를 축하하는 용으로 병풍 그림으로 많이 그려졌다. 길상도의 소재는 산수, 인물, 짐승, 화훼 등 거의 모든 회화 제재에 걸쳐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의 고분벽화 등에 짐승과 꽃이 길상의 소재로 다루어졌다. 고려 시대에 이르러 무병장수를 상징하는 동식물을 그린 십장생도가 출현하였다. 조선 후기에는 민화류들이 대부분 길상화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길상도로 분류되는 작품으로는 십장생도 외에 일월산수도, 송학도 등이 있다.

목차
정의
현실 생활에서의 부귀와 행복 등의 염원을 사물에 의탁하여 그려진 그림.
개설

길상도(吉祥圖)는 주제와 기능 면에서 동양 회화의 주1을 이루고 있다. 상징화 또는 우의화(寓意畵)의 성격을 지니며 현세 이익적 주2을 담는 실용적 성향을 짙게 띄고 있다. 생일 축수용이나 세화(歲畵) 등의 선물용, 병풍 그림 등의 주거 장식용으로 많이 그려졌다. 많은 자손과 풍부한 재물을 가지고 귀하게 되어 평안하고 오래 사는 것을 인생 행복의 제일로 여기고, 이를 궁극적인 목적으로 삼았던 동양인 특유의 인생관을 배경으로 하여 제작되었다.

특히 동양인들은 세계와 인생의 운행을 비롯한 현상계의 길흉화복과 흥망성쇠가 신령이나 주3의 운수, 천지의 기운과 같은 초월적 자연물인 길경지물(吉慶之物)에 의해 결정된다고 인식하였다. 그래서 이들을 통하여 인생의 소망과 욕구를 나타내고 해결하고자 하였다.

내용

길리상서(吉利祥瑞)의 사상은 주4에서 그 이념적 체계를 볼 수 있다. 중국 한나라 때에 이르러 신선사상과 결합되어 민간신앙으로 신봉되면서 크게 성행하였다. 내용은 복(福) · 녹(祿) · 수(壽)를 중심으로 부귀 · 영화 · 출세 · 다남(多男) · 재물 · 행운 · 건강 · 평안 · 기쁨 · 화합 등 현실에서의 길운을 추구하는 것이다. 하지만 소재는 오행설(五行說)과 역경사상에서 기인한 것, 민간 신앙을 포함한 종교상의 신앙에서 발생된 것, 대상물의 형태적 특성에서 유래된 것, 역사적 전설 또는 고사(故事)와 관련된 것, 그리고 언어상의 발음과 어의에서 연유된 것 등으로 다양하다.

길상적 소재는 동양문화의 오랜 전통 속에서 형성되었기 때문에 산수, 인물, 주5, 주6 등 거의 모든 회화 제재에 걸쳐 있으며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화조(花鳥)와 동물, 주7, 식물 등의 화목(畵目)은 대부분 길상적 성격을 띠고 있다. 그리고 산수와 인물에서도 신선도(神仙圖)를 비롯한 도석인물화(道釋人物畵)와 이들 인물을 중심으로 구성된 산수화들은 모두 주제와 기능 면에서 이 영역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소재들은 단독 또는 두 개 이상이 조합되어 그려지며, 주로 채색과 주8에 의한 주9으로 다루어졌다. 『서경(書經)』 · 『우서(虞書)』의 익직편(益稷編)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주10이 신하들의 관복(官服)을 제정할 때 상서로운 의미를 지닌 해 · 달 · 산 · 용 · 꿩 등으로 장식했다는 기록으로 미루어 보면, 처음에는 장식 문양으로 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한나라 시대를 거치면서 더욱 다양해지고 당나라 때는 이를 주11으로 정리한 『손씨서응도(孫氏瑞應圖)』가 간행되기도 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의 고분벽화 · 공예화 등에 각종 영수(靈獸)와 서화(瑞花)가 길상의 소재로서 다루어지다가 고려시대에 이르러 십장생도(十長生圖) 등이 출현하였다. 이와 같은 전통은 조선시대로 이어져 사회적 불안과 도석신앙의 팽배에 수반되어 크게 유행하였다. 특히 조선 후기에 많이 그려진 민화들은 거의 대부분이 길상화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또한 조선 말기에서 근대 초기에 성행했던 기명절지화(器皿折枝畵)나 원체풍의 주12 그림들도 길상성을 짙게 띠고 있다.

길상도로 분류되는 작품으로는 십장생도, 일월산수도(日月山水圖), 모란도, 연화도(蓮花圖), 약리도(躍鯉圖), 백동자도(百童子圖), 군접도(群蝶圖), 송학도(松鶴圖), 매작도(梅鵲圖), 수성노인도(壽星老人圖), 군선경수도(群仙慶壽圖), 기섬도(騎蟾圖), 석류도, 하마선인도(蝦蟆仙人圖) 등이 있다.

참고문헌

『中國吉祥圖案』(野崎誠近, 象文圖書, 1981)
A Background to Chinese Painting(Some Jenyns, Schocken Book New York, 1966)
주석
주1

사물의 주류. 우리말샘

주2

복을 비는 성질. 우리말샘

주3

우주 만물을 이루는 다섯 가지 원소. 금(金), 수(水), 목(木), 화(火), 토(土)를 이른다. 우리말샘

주4

만상(萬象)을 음양 이원으로써 설명한 유학 경서. 만상의 으뜸을 태극이라 하였고 거기서 64괘를 만들었는데, 이에 맞추어 철학ㆍ윤리ㆍ정치상의 해석을 덧붙였다. 우리말샘

주5

새나 짐승을 그린 그림. 우리말샘

주6

꽃이 피는 풀과 나무 또는 꽃이 없더라도 관상용이 되는 모든 식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7

물고기와 게를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8

대상물의 외형 묘사에 치중하여 꼼꼼하고 정밀하게 그리는 기법. 우리말샘

주9

중국 송나라 때에, 화원(畫院)이 번성하던 시대의 화풍. 궁전 취미가 화풍에 반영되었고 정교한 사실, 전통의 존중, 장식성을 중시하였다. 우리말샘

주10

중국 태고(太古)의 천자 ‘순’을 임금으로 받들어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1

그림이나 사진을 모아 실물 대신 볼 수 있도록 엮은 책. 우리말샘

주12

책이나 벼루, 먹, 붓, 붓꽂이, 두루마리꽂이 따위의 문방구류를 그린 그림.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