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교적 인물화의 소재는 장수(長壽)와 화복(和福) 등 상서로움을 상징하는 선인상(仙人像), 죽림칠현(竹林七賢), 거사(居士) 등 신선의 경지에 이른 도인상(道人像)과 동왕공(東王公), 서왕모(西王母), 복희(伏羲), 여와(女媧) 등 중국 고대 신화에 등장하는 전설적 인물상, 그리고 기타 신장도(神將圖)가 있다. 이들 도선상(道仙像)들은 단독상 혹은 군상(群像)으로 표현되며, 그들과 관계 깊은 일화를 담고 있다. 천도(天桃), 불로초(不老草), 사슴, 학, 기린 등이 함께 등장한다.
불교적인 인물화는 사원의 정통적인 불화보다 선종화적(禪宗畵的)인 작품이 주를 이룬다. 석가여래, 보살, 나한상, 선사상(禪師像) 등이 등장한다. 자주 등장하는 화제(畵題)로는 선종의 조사(祖師)인 달마(達磨)와 선승인 포대(布袋), 한산(寒山), 습득(拾得), 그리고 백의관음(白衣觀音)과 나한(羅漢)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역시 단독상이나 군상으로 표현되며 일화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일화와 관계있는 지물(持物)을 들었거나 표정으로 그 특징을 나타낸다. 이 밖에 도교와 불교적인 인물상을 복합시켜 표현하거나 유·불·선(儒佛仙) 삼교(三敎)의 주요 인물들을 함께 등장시키기도 했다.
이러한 도석인물화는 도교와 불교적인 그림을 통칭하는 것이다. 전형적인 도석인물화는 수묵 위주의 선종화적인 표현으로 그려진다. 또 즉흥적이고 간략한 필치의 감필법(減筆法)을 적용해 인물을 표현하는 것이 특징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려시대 선종 회화가 보급되었고 선승과 달마상 등을 그렸다는 기록이 있다. 그러나 현존하는 작품은 대부분 조선 중기 이후의 것들이다. 대표적인 도석인물화로는 일본에 통신사의 일원으로 다녀왔던 김명국(金明國)과 한시각(韓時覺)의 달마도나 포대화상도가 있다. 특히 도석인물화는 임진왜란 이후 조선 후기 풍속화와 함께 유행하였다.
대표적인 화가로는 김홍도(金弘道)와 그의 화풍을 따른 김득신(金得臣), 이수민(李壽民), 이재관(李在寬), 백은배(白殷培) 등이 있다. 이 밖에도 조선 초·중기의 이정(李霆), 이경윤(李慶胤), 이명욱(李明郁), 후기의 김두량(金斗樑), 심사정(沈師正), 김덕성(金德誠), 말기의 장승업(張承業), 안중식(安中植), 조석진(趙錫晉) 등도 우수한 도석인물화를 남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