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화 ()

목차
관련 정보
회화
개념
조선시대에 새해를 송축하고 재앙을 막기 위하여 그린 그림.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에 새해를 송축하고 재앙을 막기 위하여 그린 그림.
내용

질병이나 재난 등의 불행을 사전에 예방하고 한 해 동안 행운이 깃들기를 기원하는 벽사적(辟邪的)이고 기복적(祈福的)인 성격을 띠고 전개되었다. 새해 첫날의 세시풍속의 하나로 이루어졌다. 문짝에 주로 붙이기 때문에 문배(門排) 또는 문화(門畫)라고도 하였다. 중국에서 서기전부터 집안으로 들어오는 악귀를 쫓기 위해 문신을 대문에 그려 붙이던 주술적 관습이 6세기경 정초의 연례행사로 정착되면서 유래된 것이다. 명대(明代) · 청대(淸代)를 통하여 연화(年畫)로 크게 유행하였다.

우리 나라에서는 조선 초기부터 풍습화되어 20세기 초반까지 지속되었다. 처음에는 궁중 풍속으로 시작되어 점차 민간층으로 확산되었다. 농촌보다는 정교한 대문을 가진 서울 등의 도시 주택을 중심으로 성행하였다. 그림의 내용으로는 신라시대 이래로 역귀(疫鬼)를 쫓는 벽사신인 처용(處容)이 조선 초기에 제작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주로 중국의 도교와 관련된 문신들이 많이 그려졌다.

대궐문 양쪽에는 당나라 장군인 진숙보(秦叔寶)와 위지공(尉遲恭)에서 유래된 금(金) · 갑(甲) 두 장군상을 한 길이 넘는 크기로 그려서 붙였다. 중문과 곁대문 등에는 붉은 도포에 검은 사모(紗帽)를 쓴 위정공(魏鄭公)과 종규(鍾馗)가 귀신 잡는 형상을 붙이기도 하였다. 일반 민간에서는 동물 중에 벽사력을 많이 지닌 것으로 믿어오던 닭과 호랑이를 비롯하여 해태 모양의 사자와 개를 그려 붙였다. 삼재(三災)가 든 해에는 특별히 매 그림[鷹圖]을 대문 등에 붙였다. 그리고 기복적인 송축 등으로는 장수를 상징하는 수성(壽星)과 선녀 그림을 비롯하여 길상적(吉祥的)인 성격을 지닌 인물 · 화훼 · 누각 등을 그렸다.

궁중에서 사용하는 것은 도화서(圖畫署)에서 제작하여 12월 20일경 진상하였다. 그리고 이를 우열별로 등급을 나누어 각 전(殿)과 종실, 재상과 근신들에게 하사하였다. 도화서에서 매년 12월에 진상하는 수량은 조선 초기에는 60장 가량이었다. 그러나 연산군 때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중종 연간에 이르러 신하 한 사람당 20장씩 하사할 정도로 많은 양이 제작되었다. 이를 위하여 임시로 고용된 차비대령(差備待令)의 화원이 각각 30장을 그렸다 한다. 그리고 도화서 소속 화원들은 각기 20장씩을 그렸다. 제작 기간은 1, 2개월에서 길게는 3개월이 걸리기도 하였다.

지방 관아에서 소용되는 것은 그곳에 소속된 화원들이 제작하였다. 그리고 일반 민간인들은 지물포 등에서 주로 구입하였다. 짙은 회색을 사용하여 장식성이 강조되었고, 창조성보다는 본보기 그림에 의하여 되풀이되어 그려지면서 도식화된 양식이 인습적으로 계승되었다. 오늘날 세화는 민화의 범주로 분류되고 있으며, 해마다 새로운 것으로 갈아 붙였기 때문에 오래된 유물이 드물다.

참고문헌

『태종실록(太宗實錄)』
『세조실록(世祖實錄)』
『성종실록(成宗實錄)』
『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
『중종실록(中宗實錄)』
『용재총화(慵齋叢話)』(성현)
『추재집(秋齋集)』(조수삼)
『한국의 미-민화-』(김철순 감수, 중앙일보사, 1978)
『한국세시풍속』(장주근, 형설출판사, 1984)
「세화(歲畵)의 멋과 의미」(서정걸, 『월간미술』 38, 1992.2.)
「민화와 민간년화」(정병모, 『강좌미술사』 7, 한국불교미술사학회, 1995.1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