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신선전 ()

목차
관련 정보
한문학
작품
조선 후기에 박지원(朴趾源)이 지은 한문 단편소설.
내용 요약

김신선전은 조선 후기에 박지원이 지은 한문 단편소설이다. 박지원이 28세 때인 1764년(영조 40) 이후에 쓴 작품으로, 『연암별집』 권8 방경각외전에 실려 있다. 박지원은 신선이라고 소문났던 김홍기라는 인물을 추적해서 그가 신선이라는 신비로운 존재가 아니라 욕심없이 사는 착한 은자일 뿐이라고 주장하였다. 「김신선전」을 통한 신선의 부정은 박지원의 현실적, 실학적 사상에서 기인한다. 「김신선전」은 서술이 매우 사실적이며, 문장이 기굴(奇?)하다. 특히 문답식 전개가 찬란하다는 평을 받고 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에 박지원(朴趾源)이 지은 한문 단편소설.
내용

조선 후기에 박지원(朴趾源)이 지은 한문 단편소설. 작자가 28세 때인 1764년(영조 40) 이후에 쓴 작품이다. 『연암별집(燕巖別集)』 권8 방경각외전(放璚閣外傳)에 실려 있다.

「김신선전」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김신선의 속명(俗名)은 홍기(弘基)로 16세에 장가 들어 단 한번 아내를 가까이해서 아들을 낳았다. 화식(火食)을 끊고 벽을 향해 정좌한 지 여러 해 만에 별안간 몸이 가벼워졌다.

그 뒤에 각지의 명산을 두루 찾아다녔다. 하루에 수백 리를 걸었으나 5년 만에 한 번 신을 갈아 신었다. 험한 곳에 다다르면 더욱 걸음이 빨라졌다. 밥을 먹지 않았고 아무도 그가 찾아오는 것을 싫어하지 않았다. 겨울에 솜옷을 입지 않고 여름에 부채질을 하지 않았다.

김홍기의 키는 7척이 넘었다. 여윈 얼굴에 수염이 길었고 눈동자는 푸르며 귀는 길고 누른 빛이 났다. 술은 한 잔에도 취하지만 한 말을 마시고도 더 취하지는 않았다고 한다. 남이 이야기하면 앉아서 졸다가 이야기가 끝나면 빙긋이 웃었다. 조용하기는 참선하는 것 같고 졸(拙)하기는 수절과부와 같았다.

어떤 이는 김홍기의 나이가 백여 살이라고도 하고 어떤 이는 쉰 남짓 되었다고도 한다. 지리산에 약을 캐러 가서 돌아오지 않은 지가 수십 년이라고도 한다. 어두운 바위구멍 속에 살고 있다고도 했다.

그 무렵에 박지원은 마침 마음에 우울병이 있었다. 김신선의 방기(方技 : 기이한 술수)가 기이한 효험이 있다는 소문을 듣고 그를 만나 보려고 윤생(尹生)과 신생(申生)을 시켜 몰래 탐문해보았다. 열흘이 지나도 찾지 못하였다.

윤생은 김홍기가 서학동(西學洞)에 있다는 소문을 듣고 찾아갔다. 그러나 그는 사촌 집에 처자를 남겨둔 채 떠나고 없었다. 그 아들에게서 홍기가 술 · 노래 · 바둑 · 거문고 · 꽃 · 책 · 고검(古劒) 따위를 좋아하는 사람들 집에서 놀고 있으리라는 말을 듣고 두루 찾았으나 어떤 곳에서도 찾을 수 없었다.

창동을 거쳐 임동지(林同知)의 집에까지 찾아갔으나 아침에 강릉으로 떠나갔다는 말만 듣는다. 다시 복(福)을 시켜서 찾아보았다. 그러나 끝내는 만나지 못했다.

이듬해에 박지원이 관동으로 유람가는 길에 단발령을 넘으면서 남여(뚜껑이 없는 작은 가마)를 메고 가는 어떤 스님으로부터 “선암(船菴)에서 주1하는 사람이 있다.”는 소문을 들었다.

또한 그날 밤에 장안사의 승려들로부터 같은 이야기를 듣는다. 그러나 여러 날을 지체하여 선암에 올랐을 때에는 탑 위에 동불(銅佛)과 신발 두 짝이 있을 뿐이었다.

「김신선전」은 박지원의 끈질긴 추적으로 소문에만 등장하던 신선을 그 신비로움에서 벗기는 것이다. 신선이란 허구를 타파하려는 작자의 실학사상을 엿볼 수 있다.

작자 스스로도 방경각외전 자서에서 “홍기는 주2이라 유희 속에 몸을 숨겼다. 맑거나 흐리거나 실수가 없고 탐내거나 구하는 아무것도 없었다.”라고 하여 그를 착한 은자로 이해한다.

이처럼 「김신선전」을 통한 신선의 부정은 그의 현실적 · 실학적 정신의 기저가 된 것이라 하겠다. 「김신선전」은 서술이 매우 사실적(寫實的)이며, 문장이 기굴(奇崛 : 남다르고 큼)하다. 특히 문답식 전개가 찬란하다는 평을 받고 있다. 이와 비슷한 선행작품으로, 허균(許筠)「장산인전(張山人傳)」이 있다.

참고문헌

『연암집(燕巖集)』
『연암소설연구』(이가원, 을유문화사, 1965)
주석
주1

곡식은 안 먹고 솔잎, 대추, 밤 따위만 날로 조금씩 먹음. 또는 그런 삶. 우리말샘

주2

크게 깨달아 번뇌와 의혹이 다 없어진 은자(隱者). 속세를 초월하여 세속적인 일에 조금도 마음이 흔들리지 않는 은자를 이른다.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