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알지 ()

목차
고대사
인물
삼국시대 신라 경주김씨의 시조.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65년
사망 연도
미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삼국시대 신라 경주김씨의 시조.
개설

『삼국사기(三國史記)』에 따르면, 탈해이사금 9년에 왕이 금성(金城) 서쪽 시림(始林) 속에서 닭의 울음소리를 듣고 호공(瓠公)을 보내 살펴보게 하니, 황금빛의 궤가 나뭇가지에 걸려 있고 궤에서 빛이 나오며 흰 닭이 나무 밑에서 울고 있었다. 호공이 보고 돌아와 왕에게 고하니, 왕이 친히 가서 궤를 열어 보자 용모가 수려한 사내아이가 나왔다.

이 때부터 시림을 ‘계림(鷄林)’이라 하고, 이를 국호로 삼았다. 탈해왕은 이 아이를 거두어 길렀는데 금궤에서 나왔다고 해 성을 ‘김’씨로 했으며, 성장하면서 총명하고 지략이 뛰어나 ‘알지’라고 이름 붙였다고 한다.

그런데 『삼국유사(三國遺事)』에도 알지 설화가 수록되어 전하고 있다. 부분적으로는 『삼국사기』와 약간 차이가 있으나 전체적인 줄거리는 같은 내용이다. 즉, 박·석 양 씨보다 먼저 경주 지역에 정착했으나 정치적으로는 뒤에 비중이 커진 김씨 집단이 그들의 토템인 닭과 그들의 조상을 연결해 이 같은 설화를 탄생시킨 것으로 보고 있다.

‘알지’라는 명칭에도 많은 관심을 가져 왔다. 『삼국유사』에서는 그것이 ‘아기’라는 뜻이라고 했으며 이후 많은 학자들이 이를 따르기도 했으나, 근래에는 ‘Ar’ 부족, 즉 ‘금(金)’ 부족의 족장이라고 보는 견해가 유력하다.

알지의 아들은 세한(勢漢 또는 熱漢)이며, 그 뒤의 계보는 아도(阿都)·수류(首留 또는 水留)·욱보(郁甫 또는 郁部)·구도(俱道 또는 仇刀)로 이어지고, 구도의 아들은 김씨로서는 최초로 왕위에 오른 미추이사금(味鄒尼師今)이다. 미추이사금은 알지의 7대 손이 된다.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삼국유사(三國遺事)』
「신라상고세계와 그 기년」(김철준, 『역사학보』 17·18합집, 1962; 『한국고대사회연구』, 지식산업사, 1975)
「新羅上古世系考」(末松保和, 『新羅史の諸問題』, 東洋文庫, 195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