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무아문 ()

목차
관련 정보
근대사
제도
1894년, 갑오개혁 때 의정부에 설치된 8개 아문 중 하나로 지방 감독 업무와 인구 파악 등을 담당한 관청.
제도/관청
설치 시기
1894년(고종 31) 6월
폐지 시기
1895년(고종 32)
상급 기관
의정부
내용 요약

내무아문은 1894년, 갑오개혁 때 의정부에 설치된 8개 아문 중 하나로 지방 감독 업무와 인구 파악 등을 담당한 관청이다. 조선시대 6조 체제에서 이조(吏曹)의 업무와 내무부, 제중원 등의 업무를 계승하였으며, 1895년 내부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목차
정의
1894년, 갑오개혁 때 의정부에 설치된 8개 아문 중 하나로 지방 감독 업무와 인구 파악 등을 담당한 관청.
내용

1894년(고종 31) 갑오개혁 때 근대적인 정부 조직으로 개편하면서 의정부 산하에 설치한 8개 아문 중 하나이다. 군국기무처는 1894년 6월 28일, 기존의 정부 조직을 국정 사무를 담당하는 의정부와 왕실 업무를 담당하는 궁내부로 크게 나누고, 의정부 산하에 내무 · 외무 · 탁지 · 군무 · 법무 · 학무 · 농상 · 공무아문 등 8개 아문을 설치하였다. 조선 왕조의 6조 체제를 8아문 체제로 개편한 것이다.

내무아문은 종래의 이조(吏曹)내무부(內務府), 제중원의 업무를 계승한 관서로서, 관원으로 대신 1명, 주7 1명, 참의(參議) 5명, 주사 24명을 두었다. 산하에 총무국 · 주1 · 주2 · 주3 · 주4 · 주5 · 회계국의 7개국이 있었다.

각 국의 담당 업무를 보면, 총무국은 각국 업무 외 서무를 관장하고, 판적국은 인구 호수(戶數) 및 생산물 조사를 담당하였다. 주현국은 각 지방을 감독하는 사무를 맡고, 위생국은 전염병 예방 및 의약, 주6 등에 관련된 업무를 담당하였다.

지리국은 국토 측량과 지도 제작, 도로 및 교량, 나루 등에 관한 업무를 하였으며, 사사국은 국가 전례로 제사를 지내는 대상인 주8과 사찰, 신사(神祠)에 관한 업무를 관장하였다. 회계국은 내무아문의 출납 담당 부서였다. 참의 5명이 각국을 담당하되, 지리국과 사사국은 위생국장이 겸직하였다.

갑신정변 이후인 1885년 설치된 내무부가 개화 정책을 추진하면서 국정 운영 전반을 총괄해온 데 비하면 내무아문은 지방과 인민 통치에 관한 업무로 위상이 대폭 축소된 것이다. 1895년 4월의 관제 개편으로 의정부는 내각으로, 각 아문은 부(部)로 변경되었다. 이때 농상아문과 공무아문이 통합되어 농상공부가 되면서 7부체제가 되었다. 내무아문도 내부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군국기무처의안(軍國機務處議案)』

단행본

왕현종, 『한국근대국가의 형성과 갑오개혁』(역사비평사, 2003)
주석
주1

갑오개혁 이후에, 내무아문에 속하여 호적에 관한 사무를 맡아보던 관청.    우리말샘

주2

구한말에, 내무아문에 속하여 각 지방의 사무를 감독하는 일을 맡아보던 부서.    우리말샘

주3

구한말에, 내무아문에 속하여 토지의 측량과 하천 공사 따위를 맡아보던 부서. 고종 31년(1894)에 설치하여 이듬해 없앴다.    우리말샘

주4

구한말에, 내무아문 및 내부(內府)에 속하여 위생 사무를 맡아보던 부서. 1894년에 둔 것으로, 광무 9년(1905년)에 위생과로 고쳤다가 융희 2년(1908년)에 다시 위생부로 고쳤다.    우리말샘

주5

구한말에, 내무아문에 속하여 절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청.    우리말샘

주6

천연두를 예방하기 위하여 소에서 뽑은 면역 물질.    우리말샘

주7

구한말에, 통리군국사무아문과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에 둔 벼슬.    우리말샘

주8

국전(國典)으로 제사 지내던 오악(五嶽)과 사독(四瀆).    우리말샘

집필자
서영희(한국산업기술대 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