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권 3책. 목판본. 편찬자와 간행연도가 미상이며, 권두에 1907년에 쓴 허훈(許薰)의 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119수, 권2에 서(書) 36편, 잡저 7편, 서(序) 4편, 기 2편, 권3에 발 7편, 상량문 2편, 고유문 7편, 제문 25편, 권4에 뇌문(誄文) 3편, 묘갈명 8편, 권5에 묘지명 15편, 권6에 행장 2편, 가장 4편, 유사·행록 각 1편, 권7은 부록으로 행록·묘갈명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춘일우음(春日偶吟)」·「영매(詠梅)」·「영죽(詠竹)」·「영국(詠菊)」 등 서정시가 많고, 그밖에 장편의 「차입암이십팔경(次立巖二十八景)」·「차숭아자경절구(次漴兒自警絶句)」 등이 특이하다.
서(書)는 김두흠(金斗欽)·장인원(張仁遠) 등과 시문(詩文)에 대한 토론, 문집간행, 자손들의 교육문제 등에 대하여 상의한 내용이다.
잡저에는 유려한 필치와 함축성이 뛰어난 「송죽매국찬(松竹梅菊贊)」, 비유가 훌륭한 「고사설(古査說)」, 그의 청빈하고 낙천적인 성격이 표출된 「내헌설(耐軒說)」 등이 있다.
서(序)에는 임진왜란의 전투상황이 단편적으로 삽입되어 있는 「제흥군고공실기서(濟興君高公實紀序)」 외에 「향오세고서(香塢世稿序)」·「구봉이공유고서(九峯李公遺稿序)」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