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로 ()

목차
건축
물품
활차(滑車 : 도르래)를 이용하여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올리는 데 쓰이던 기구.
목차
정의
활차(滑車 : 도르래)를 이용하여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올리는 데 쓰이던 기구.
내용

조선 후기에 성을 쌓거나 큰 집을 지을 때 사용하였다.

각목으로 네모난 틀을 만들고 틀의 앞쪽으로 긴 지주(支柱) 구실을 하는 간목(竿木) 둘을 비스듬히 세운 다음, 간목 꼭대기에는 활차를 달고 나무틀의 뒤쪽에는 얼레를 설치하여 동아줄을 얼레와 활차에 연결하고 줄의 반대쪽에 물건을 달아맨 뒤, 얼레를 돌려 줄을 감으면서 물건을 들어 올리도록 한 것이다.

1796년(정조 20) 수원성곽을 쌓을 때에는 두 틀을 만들었다고 하는데, 『화성성역의궤』에 의하면 틀의 크기는 세로 15척, 높이 10척이고 간목의 길이가 35척으로, 여덟 사람이 둘로 나뉘어 얼레를 좌우에서 돌려 물건을 올리고, 적당한 높이에 올라가면 줄 갈고리로 끌어서 원하는 자리에 옮긴 다음 다시 얼레를 늦추어 물건을 내리도록 한다고 하였다.

그 뒤 1803년(순조 3) 창덕궁 인정전(仁政殿) 재건공사 때와 1857년(철종 8) 인정전 중수공사 때에도 녹로를 만들어 활용하였다. 인정전 공사 때에는 이것을 다루는 장인을 녹로선격군(轆轤船格軍)이라고 불렀는데, 『(경복궁)영건일기』에 녹로를 조작하는 방법과 뱃사공들이 돛을 매다는 방법이 같다고 하여 녹로는 주로 뱃사공들이 다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간주(竿柱)를 높이 세우고 그 꼭대기에 활차를 달고 동아줄을 걸어 밑에서 한쪽 줄을 잡아당겨 물건을 높이 올리는 것은 오래전부터 깃발을 세우는 일 등에 쓰이던 것인데, 조선 후기에 와서 무거운 돌을 들어 올리는 데 그 원리를 응용한 것이다.

참고문헌

『화성성역의궤(華城城役儀軌)』
『인정전영건도감의궤(仁政殿營建都監儀軌)』
『인정전중수도감의궤(仁政殿重修都監儀軌)』
집필자
김동욱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