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권 5책. 목판본. 아들 진(鎭)과 유(鎏)가 유문을 정리하다가 마치지 못하고 죽자, 그의 아우 면(0x9E74)이 1895년(고종 32)에 편집, 간행하였다. 권말에 면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와 장서각 도서 등에 있다.
권1·2에 시 280수, 권3·4에 서(書) 40편, 잡저 15편, 권5·6에 기행문 1편, 서(序) 9편, 기 16편, 권7·8에 발문 26편, 제문 19편, 상량문 3편, 묘표 2편, 묘지 4편, 행장 3편, 권9에 가장 2편, 보유어록(補遺語錄) 1편, 녹문거사전(鹿門居士傳) 1편, 권10은 부록으로 묘갈명 1편, 묘지 1편, 가장(家狀) 1편, 유사 1편과 제문·만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삼례고증서(三禮攷證序)」는 『주례』·『의례』·『예기』의 잘못된 연대를 고증하게 된 경위를 밝혀주는 글이고, 「유금강산록(遊金剛山錄)」은 1847년(헌종 13) 8월에 금강산을 유람하면서 보고 느낀 사실을 빼놓지 않고 자세하게 적은 기행문으로, 군데군데 시구를 곁들여 자기의 감정을 표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