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방광불화엄경소 ()

목차
관련 정보
불교
문헌
14세기경, 송나라 승려 정원(淨源)이 80권본 『화엄경』의 본문을 나누고 그에 해당하는 징관(澄觀)의 주석서 『대방광불화엄경소(大方廣佛華嚴經疏)』를 함께 수록해 편집한 목판을 의천이 가져와 인쇄한 불교 논서.
이칭
이칭
주화엄경소(注華嚴經疎)
문헌/고서
편찬 시기
11세기말
간행 시기
14세기경
저자
징관(澄觀)
편자
정원(淨源)
권책수
120권
권수제
大方廣佛華嚴經疏
판본
목판본
표제
大方廣佛華嚴經疏
소장처
재단법인 현담문고|관문사|구인사|호림박물관|국립중앙박물관|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대방광불화엄경소(大方廣佛華嚴經疏)』는 11세기에 송나라 승려 정원(淨源)이 80권본 『화엄경』의 본문을 나누고 그에 해당하는 징관(澄觀)의 주석서 『대방광불화엄경소(大方廣佛華嚴經疏)』를 함께 수록해 편집한 목판을, 고려 승려 의천이 가져와 14세기경 인쇄한 불교 논서이다. 이후 이 목판은 일본으로 건너간 뒤 화재로 소실된 것으로 전해진다.

목차
정의
14세기경, 송나라 승려 정원(淨源)이 80권본 『화엄경』의 본문을 나누고 그에 해당하는 징관(澄觀)의 주석서 『대방광불화엄경소(大方廣佛華嚴經疏)』를 함께 수록해 편집한 목판을 의천이 가져와 인쇄한 불교 논서.
내용

『대방광불화엄경소(大方廣佛華嚴經疏)』는 송나라 화엄 학승인 정원(淨源, 10111088)이 80권본 『화엄경』의 본문을 나누고, 그 아래에 80권본 『화엄경』에 대한 징관(澄觀, 738839)의 주석서 『대방광불화엄경소(大方廣佛華嚴經疏)』의 해당 부분을 실은 것으로, 총 120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참고로, 80권본 『화엄경』은 주본(周本) 『화엄경』이라고도 하며 당 측천무후(則天武后)가 국호를 주(周)로 정했을 때 한어로 번역된 것에서 유래한 명칭이다. 모두 80권으로 이루어져 80권본 『화엄경』 또는 『팔십화엄경』이라고도 한다. 이 80권본 『화엄경』은 불타발타라(佛陀跋陀羅, 359~429)가 418~420년에 번역한 진본(晉本) 『화엄경(華嚴經)』에 이어 새로 번역한 것이다. 이 문헌에 대한 주석서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바로 징관의 『대방광불화엄경소(大方廣佛華嚴經疏)』이다.

이 목판을 고려에 수입한 의천은 송나라 유학 당시 화엄학의 대가인 정원과 친밀한 관계를 맺었다. 혜인원에 머무는 동안 의천은 정원이 엮은 『대방광불화엄경소』 1질 120권을 정원으로부터 직접 기증받았다. 의천은 귀국하기 전에 그 전질(全帙)의 판각을 항주의 각수(刻手) 엄명(嚴明) 등에게 주문하였고, 정원은 1087년(선종 4) 3월, 송나라의 선상(船商) 서전(徐戩) 등을 통해 모두 2,900여 판에 이르는 목판을 의천에게 전달하였다.

조선시대인 1424년(세종 6), 대장경판을 달라는 일본의 끈질긴 요청에 따라 이 목판을 대신 주어 보냈다는 기록이 있다. 이 목판들은 일본 교토 쇼코쿠사[相國寺]에 소장되어 있었으나, 후에 화재로 전부 소실된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대방광불화엄경소』는 불교를 통한 동양 3국의 문화 교류의 실상을 확인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현재 목판은 존재하지 않으며, 이 목판으로 찍은 목판본의 일부가 현존한다. 보물로 지정된 제891호(권42) · 제892호(권28 · 29 · 30) · 제964호(권41) · 제1013호(권68) · 제1106호(권84) · 제1124호(권30) · 제1128호(권21・24)가 남아 있는데, 이들은 모두 동일한 판본이다.

보물 제891호는 권42로 1권 1첩이고, 보물 제892호는 권28∼권30, 권100∼102의 6권 2책으로 재단법인 현담문고(구 아단문고)에 소장되어 있다.

보물 제964호(권41)는 다른 것과 달리 권머리에 「각주화엄경도변상연기(刻注華嚴經都變相緣起)」와 「변상도(變相圖)」가 실려 있다. 기록에 의하면 의천에게 보낸 경판에는 변상도가 없었기 때문에, 이것은 1372년(공민왕 21)에 오관산(五冠山) 영통사(靈通寺)에서 새긴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보물 제964호는 변상도가 처음 등장하는 판본으로 동일본의 인쇄 시기를 추정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이 판본은 대한불교 천태종 관문사(觀門寺)에 소장되어 있다.

보물 제1013호(권68)는 대한불교천태종 구인사(救仁寺)에, 보물 제1106호(제84권 · 제100권 · 제119권)는 호림박물관에, 보물 제1124호(제30권)는 국립중앙박물관에 있으며, 보물 제1128호(제21권 · 제24권)는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원전

단행본

천혜봉·박상국, 『동산 문화재 지정 조사 보고서(動産文化財指定調査報告書)』(문화재관리국, 1989·1991·1992)

논문

남권희,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 初雕大藏經과 『大方廣佛華嚴經䟽』」(『한국학논집』 37,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08)

인터넷 자료

기타 자료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