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정공유고 ()

목차
관련 정보
도정공유고 / 윤동로
도정공유고 / 윤동로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윤동로의 시 · 제문 · 사(辭) · 유사 등을 수록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윤동로의 시 · 제문 · 사(辭) · 유사 등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활자본. 편자와 간행연도는 미상이며, 서와 발이 없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에 사(辭) 1편, 시 300여 수, 제문 8편, 권2에 가장·묘지 각 1편, 부록에 연보·유사·묘표·제문 등이 수록되어 있으며, 권말에는 그의 큰아들인 응교(應敎) 광운(光運)의 유소(遺疏) 8편과 그에 대한 가장·제문·만사 등이 수록되어 있다.

사(辭)의 「근차명재선생귀거래사운이우차회(謹次明齋先生歸去來辭韻以寓此懷)」는 그가 누차 외직으로 전전하면서 항상 흠모하던 도연명(陶淵明)의 인품과 전원생활에의 간절한 소망이 표출된 것이다.

시에는 서정성이 강한 「영국(詠菊)」·「영원송(詠園松)」·「정매(庭梅)」·「월야문인적유감(月夜聞隣笛有感)」 등과 증여 또는 화답의 목적으로 쓰인 「증별이정랑일본지행(贈別李正郎日本之行)」·「역로별관서백(驛路別關西伯)」 등을 비롯하여 「조무(朝霧)」·「관조어(觀釣魚)」·「영침(詠枕)」·「민한(憫旱)」 등 매우 다양하고 묘사가 뛰어난 작품이 고루 실려 있다.

이밖에 그의 친척들에 대한 제문과 연보·유사 등이 수록되어 있으며, 권말에 첨부된 「응교공유소(應敎公遺疏)」와 「응교공유소부록」에는 그 당시 사회 제도의 구조와 사회 관습이 자주 언급되어 있어, 그 때의 생활상을 이해하는 데 좋은 참고자료가 된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