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타행 ()

목차
관련 정보
불교
개념
출가자가 세속의 욕심이나 속성을 버리고 몸과 마음을 닦으며 고행을 능히 참고 행하는 불교수행법.
내용 요약

두타행은 출가자가 세속의 욕심이나 속성을 버리고 몸과 마음을 닦으며 고행을 참고 행하는 불교 수행법이다. 두타행자, 고행자라고도 한다. 범어 ‘dhuta’를 음역한 것으로, ‘버린다·떨어버린다·씻는다·닦는다’ 등의 뜻을 내포하고 있다. 두타행은 애욕과 의식주에 대한 탐착을 떠나서 심신을 깨끗하게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석가모니 당시부터 행해졌던 두타행의 전통은 우리나라에도 이어졌다. 신라의 원효, 의상대사, 고려의 지눌 등도 두타행을 닦았다. 불교가 억압을 받았던 조선 시대에는 많은 수행승들이 두타행을 닦으면서 도심을 길렀다.

목차
정의
출가자가 세속의 욕심이나 속성을 버리고 몸과 마음을 닦으며 고행을 능히 참고 행하는 불교수행법.
내용

범어 ‘dhu · ta’를 음역한 것으로 ‘버린다 · 떨어버린다 · 씻는다 · 닦는다’ 등의 뜻을 내포하고 있다. 출가수행자가 세속의 모든 욕심이나 속성을 떨쳐버리고 몸과 마음을 깨끗이 닦으며, 참기 어려운 고행을 능히 참고 행하는 것을 두타 또는 고행자(苦行者)라고 한다. 우리 나라에서는 이를 두타행 또는 두타행자라고 하였다.

두타행의 세부조목으로는 12두타행 · 13두타행 · 16두타행 · 25두타행법이 있으나 우리 나라에서는 12두타행법을 많이 채택하고 있다. 12두타행은 석가모니 당시부터 행하여졌던 것으로, ① 고요한 곳에 머무르면서 세속을 멀리한다(在阿蘭若處). ② 언제나 걸식하여 신도나 국왕 등의 공양을 따로 받지 않는다(常行乞食). ③ 걸식할 때는 마을의 일곱 집을 차례로 찾아가서 빈부를 따지지 않고 걸식하며, 일곱 집에서 밥을 얻지 못하면 그날은 먹지 않는다(次第乞食). ④ 하루에 한 차례를 한자리에서 먹고 거듭 먹지 않는다(受一食法).

⑤ 항상 배고프지 않을 정도로만 먹고 주3 안에 든 음식만으로 만족한다(節量食). ⑥ 정오가 지나면 과일즙 · 주1 따위도 마시지 않는다(中後不得飮漿). ⑦ 좋은 옷을 입지 않고 헌옷을 빨아 기워서 입는다(著弊衲衣). ⑧ 내의(內衣) · 상의(上衣) · 중의(重衣) 등 세 가지 옷만을 가진다(但三衣). ⑨ 무덤 곁에 머물면서 무상관(無常觀)을 닦는다(塚間住). ⑩ 쉴 때에는 정자나 집을 택하지 않고 나무 밑에서 쉰다(樹下止). ⑪ 나무 아래에서 자면 습기 · 독충 · 새똥 등의 피해를 입을 수 있으므로 한 데에 앉는다(露止坐). ⑫ 앉기만 하고 눕지 않는다(但坐不臥) 등 12가지 행을 닦는 것이다.

석가모니의 제자 중에서는 대가섭(大迦葉)이 두타행을 가장 충실하게 닦았다고 한다. 결국 두타행은 애욕과 의식주에 대한 탐착을 떠나서 심신을 깨끗하게 한다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석가모니 이후 많은 승려들이 두타행을 닦았으며, 그 전통은 우리 나라에도 이어져서 대부분의 고승들이 이 행을 닦았다.

신라원효(元曉)『발심수행장(發心修行章)』에서 욕심을 버리고 산 속에 숨어 고행하라는 것을 권고하였고, 문무왕에게서 전장(田莊)과 재물 · 노비 등을 시주받은 의상(義湘)은 두타행에 입각한 다음과 같은 말을 하여 시주를 사양하였다. “우리 법은 평등하여 귀천이 균등합니다. 『열반경』에 여덟가지 부정재(不淨財)를 가지지 말라고 하였으니 어찌 전장과 노비를 가지리까. 빈도는 주2로써 집을 삼고 하나의 바리때로 만족합니다. 법신혜명(法身慧明)을 이것에 의지하여 밝힐 뿐입니다.”

그리고 고려 중기의 보조국사(普照國師)『정혜결사문(定慧結社文)』에서 “한가롭고 고요한 곳이라야 선관(禪觀)을 이루기가 쉽고, 욕심이 적은 두타라야 능히 성도(聖道)에 들어간다.”고 하였다. 또한 그는 정혜사(定慧社)의 청규(淸規)를 『백장청규(百丈淸規)』와 안거두타(安居頭陀)의 계율에 의지하였다.

특히 불교가 억압을 받았던 조선시대에는 많은 수행승들이 두타행을 닦으면서 도심을 길렀는데, 대표적인 인물로는 고한(孤閑)을 들 수 있다. 고한은 두타행을 하다가 유생과 아이들이 던지는 돌에 맞아 죽기 직전에 이르렀으면서도 끊임없이 ‘성불(成佛) · 성불’이라 하였고, 평생 동안 이름과 몸을 숨기면서 수행하였다고 한다.

참고문헌

『삼국유사』
『발심수행장(發心修行章)』
『정혜결사문(定慧結社文)』
『십이두타경(十二頭陀經)』
주석
주1

사탕

주2

우주 만법의 본체인 진여(眞如). 우리말샘

주3

절에서 쓰는 승려의 공양 그릇. 나무나 놋쇠 따위로 대접처럼 만들어 안팎에 칠을 한다. 우리말샘

집필자
이종익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