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신불 ()

등신불
등신불
현대문학
작품
김동리(金東里)가 지은 단편소설.
목차
정의
김동리(金東里)가 지은 단편소설.
내용

1961년 11월 『사상계(思想界)』 101호에 발표되었고, 1963년 정음사(正音社)에서 같은 제목으로 간행한 단편집 『등신불』에 수록되어 있다. 김동리의 대표작 중의 하나이며, 그의 불교사상에 대한 심화를 보여준 작품이기도 하다.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일제강점기 말기 학병으로 끌려간 ‘나’는 중국의 북경을 거쳐 주1에 주둔해 있다가 목숨을 보존하기 위하여 탈출한다. 그리고 불교학자인 진기수에게 주2를 잘라 혈서를 써 구원을 청한다.

결국, 그의 도움으로 정원사(淨願寺)라는 절에 머물게 된 ‘나’는 그곳에서 주3주4인 금불상을 접하게 됨으로써 경악과 충격에 빠져든다.

이 등신불은 옛날 주5으로 마침내 성불한 만적(속명은 기)이란 스님의 타다 굳어진 몸에 그대로 금물을 입힌 특유한 내력의 불상이다.

만적은 어머니의 학대로 집을 나간 이복형 사신(謝信)을 찾아 나와 중이 되었는데, 어느 날 문둥이가 되어 있는 사신을 만나게 된 뒤에 충격을 받아 소신공양을 하게 된다.

만적이 몸을 태우던 날 여러 가지 신기하고 이상한 일이 일어나 주6이 쏟아지게 되며, 이 돈으로 타다 남은 그의 몸에 금물을 입혀서 등신불을 만들게 된 것이다.

그런데 이 등신불은 거룩하고 원만한 여느 불상과는 달리, 고개와 등이 굽었을 뿐만 아니라 우는 듯, 웃는 듯, 찡그린 듯, 오뇌와 비원이 서린 듯한 가부좌상으로서 보는 사람의 가슴을 움켜잡는 듯한 감동과 함께 전율과 경악을 느끼게 한다.

원혜대사로부터 이 이야기를 전해 들은 ‘나’는 이 불상과, ‘나’의 잘라진 식지가 어떤 관계에 있는지를 알지 못한다.

의의와 평가

액자구조로서 이중의 이야기를 동반하고 있는 이 작품은, 현재와 과거가 표리 주7를 이루고 있으며, 시간의 과거 소급과 현재로 돌아오는 것 등 시간 이동이 그 구성의 특징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이 작품은 두개의 측면에서 그 의미 가치가 이해될 수 있다.

첫째는 김동리의 작품 세계에서 흔히 나타나고 있는 도상학적(圖像學的) 사물관이다. 그는 소설의 서사세계를 제시함에 있어서 자주 동기적 부가물을 미리 제시한다.

「무녀도」의 무녀 그림, 「황토기」의 절맥 이야기, 「까치소리」의 책, 그리고 이 작품의 불상이 그것이다. 특히, 「무녀도」와 「등신불」의 경우에는 그의 소설시학의 도상학적 성격을 잘 나타내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작품의 현실성을 더욱 인증적(認證的)이게 하고 주제를 부각해내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둘째는 소신공양의 희생적이고 헌신적인 의식을 통해서 어머니라는 인간과, 모성에 대한 도덕적인 악을 대행하여 죽는 한 인간의 승화된 고뇌와 비원을 형상화함으로써, 숭엄한 속죄에 내재하는 인간적인 고통의 깊이를 인식하고 있다는 점이다.

참고문헌

『한국현대소설사』(이재선, 홍성사, 1979)
「동리문학연구」(백철 외, 『서라벌문학』8, 서라벌예술대학, 1973)
주석
주1

중국 장쑤성(江蘇省) 서남쪽에 있는 도시. 양쯔강(揚子江) 하류 연안에 있는 수륙 교통의 요충지이며, 역대 왕조의 도읍지로 명승고적이 많다. 1928년에 국민당(國民黨) 정부의 수도가 된 후에 중국의 정치, 군사, 문화, 교육의 중심지가 되었다. 기계, 화학, 철강 공업이 발달하였다. 장쑤성의 성도(省都)이다. ⇒규범 표기는 ‘난징’이다.    우리말샘

주2

다섯 손가락 가운데 둘째 손가락.    우리말샘

주3

사람의 크기와 같은 크기.    우리말샘

주4

결가부좌를 틀고 앉아 있는 부처의 모습을 본떠서 만든 불상.    우리말샘

주5

자기 몸을 태워 부처 앞에 바침. 또는 그런 일.    우리말샘

주6

신령이나 부처 앞에 돈을 바침. 또는 그 돈.    우리말샘

주7

물체의 겉과 속 또는 안과 밖처럼 따로 떼어서 생각할 수 없는 관계.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