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우재문집 ()

목차
관련 정보
만우재문집
만우재문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금영택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4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금영택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4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2책. 석인본. 1934년 현손 덕연(德淵)·구연(九淵)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유도승(柳道昇)의 서문과 권말에 덕연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2에 시 224수, 권3에 서(書) 8편, 서(序) 1편, 발(跋) 4편, 축문·상량문 각 1편, 잡저 44편, 권4는 부록으로 행장·가장·묘갈명·만사(輓詞)·제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에는 「송포팔영(松浦八詠)」·「제산지주신재명명십이봉(題山誌周愼齋命名十二峯)」 등의 연작시와, 그의 사상적 일면이 짙게 표현된 「우차천자운척천주학(又次天字韻斥天主學)」 등을 비롯하여 증여의 의도에서 지은 시와 학문적 내용을 소재로 지은 시가 주종을 이룬다.

잡저 중 「언문자음기례(諺文字音起例)」와 「오음초성(五音初聲)」은 국어학연구에 참고자료가 되는 글로서, 훈민정음을 문자론의 입장에서 관찰한 것이다. 단음자(單音字)를 획(劃)이라 하고, 성절자(成節字)를 자(字)라 하여 훈민정음을 한자의 구조에 따라 기술하려고 시도하였다. 그리고 특히 ㅁ·ㅇ·ㆁ의 석자의 관계에 대하여 각각 소속이 다르고 본질적으로는 다른 것이나, 현실적으로 석자의 구별이 불가능함을 언급하고 있다. 대체로 그의 학설은 상식을 바탕으로 한 것이며, 이론적인 근거는 밝히지 못하고 있다.

관련 미디어 (3)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