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포일고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남기욱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3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남기욱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3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 석인본. 1933년 아들 석모(錫謨)와 손자 우연(雨淵)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말에 족인(族人) 병두(炳斗)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75수, 서(書) 14편, 잡저 4편, 권2에 서(序)·기(記) 각 2편, 제문 8편, 부록으로 만사·제문·행장·묘갈명·행략(行略)·기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에는 「영춘(迎春)」·「희청(喜晴)」 등의 서정시와 김우수(金遇洙)·이문직(李文稷)·임우호(任羽鎬)·홍용우(洪龍佑) 등을 대상으로 지은 만시, 여행 중에 타인의 시를 차운하여 지은 것이 주종을 이룬다.

잡저에는 향교에서 거행된 제사에 참석한 여정(旅程)의 기록으로서 장편으로 된 「동유록(東遊錄)」과 「유구설(乳狗說)」·「서김규일의질문후(書金圭一義疾文後)」 등이 있다.

부록에는 김도화(金道和)가 쓴 「신오기(晨塢記)」와 이수형(李秀瀅)·남석하(南錫厦)·김우락(金宇洛)·권준하(權準河) 등이 지은 4편의 「만포기(晩圃記)」를 비롯하여 그의 이력과 조상에 대하여 자세하게 기술한 제문·행장·행략 등이 수록되어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