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향방구택 ()

목차
건축
유적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에 있는 고려후기 미륵을 기다리며 향을 묻은 매향터. 기도처.
이칭
이칭
매향안(埋香岸), 매향맹방정(埋香孟芳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에 있는 고려후기 미륵을 기다리며 향을 묻은 매향터. 기도처.
내용

1309년(충선왕 1)에 영동지방 고을원들이 모여 용화회주(龍華會主)인 미륵불이 인간세상에 내려와 중생들을 구제해주기를 기원하는 뜻에서 향나무 2,500주를 각 포진(浦津)에 나누어 묻기로 결정하자, 삼척현위(三陟縣尉) 조신주(趙臣柱)가 삼척부 남쪽 맹방리에 향나무 250주를 묻고 미륵불이 하강하기를 기원하였는데, 그 장소를 매향안(埋香岸) 또는 매향맹방정(埋香孟芳汀)이라 한다.

그 뒤 조선조 명종 때 최련(崔連)이 지은 정양재(正養齋)를 영조 때 홍계하(洪啓夏)가 해운정으로 옮겨 지었으며, 1830년(순조 30) 부사 이광도(李廣度)가 중수하고, 홍진국이 중수기를 썼으나 지금은 없다.

1960년대 초에 해운정은 없어지고, 그 자리에 남양홍씨(南陽洪氏) 삼척입문시조인 홍준(洪濬)의 유업을 기리기 위하여 삼척교수당(三陟敎授堂)을 지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