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통 (먹)

목차
관련 정보
먹통
먹통
건축
물품
자재를 가공하기 위하여 선을 긋는 데 사용하는 연장.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자재를 가공하기 위하여 선을 긋는 데 사용하는 연장.
내용

장방형의 두꺼운 통재에 앞뒤로 두개의 구멍을 파내어 한쪽은 먹물을 묻힌 솜을 넣어두는 먹솜칸을, 다른 한쪽은 먹줄을 감을 수 있도록 타래를 끼워놓았다.

먹통에는 먹칼[墨刀]이 딸려 있어서 짧은 직선이나 곡선, 글씨 등을 쓰거나 먹줄을 풀 때 먹이 잘 묻도록 하는 데 사용된다. 『재물보 才物譜』에는 ‘먹통[墨斗]’·‘먹칼[墨侵]’이라 기록되어 있다. 조선후기 의궤에 먹통은 보이지 않고, 먹줄로 사용하는 실을 ‘정현면사(正絃綿絲)’, 먹의 원료를 ‘송연(松烟)’으로 기록했다.

사용하는 방법은 먹칼로 먹솜을 누르면서 타래에 감겨진 줄을 풀어 반대쪽 끝에 먹통 줄구멍을 맞춘 다음, 먹통을 단단히 고정하여 먹줄을 직각으로 들었다가 퉁기면서 놓게 된다.

이 때 잘못 퉁기면 직선이 되지 않고 휘거나 곡선이 되기 쉽다. 먹통을 만드는 재료는 소나무를 비롯한 자단나무·광솔용 괴목의 뿌리가 쓰이는데, 특히 자단나무로 만들면 결이 곱고 물을 덜 먹어 먹물을 오래 보관할 수 있다.

먹칼은 대나무나 싸릿대가지로 만든다. 한쪽 끝은 가늘고 둥글게 하며 다른 끝은 사선으로 절단한 다음 참빗과 같이 잔칼질을 하여 부드럽게 만든다.

참고문헌

『재물보』
관련 미디어 (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