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담유고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윤병익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73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윤병익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73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1권 1책. 석인본. 1973년에 증손 완호(玩鎬)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성구용(成九鏞)의 서문과 권말에 완호의 발문이 있다. 전라남도 장성의 변시연가(邊時淵家)의 산암문고(汕巖文庫)에 소장되어 있다.

시 89수, 서(書) 1편, 잡저 5편, 변(辨)·논(論)·설(說) 각 1편, 서(序) 3편, 발(跋) 4편, 잠(箴)·찬(贊) 각 1편, 제문 4편, 애사 1편, 전(傳) 2편, 부록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끝에는 그의 아들 정섭(定燮)의 『소담유고(小潭遺稿)』가 합록되어 있다.

시는 23수의 연작(聯作)으로 구성된 「동유잡영(東遊雜詠)」과 「승가사(僧伽寺)」 등의 유람시가 대표적이다. 서(書)의 「답이공오(答李公五)」는 이응진(李應辰)에게 보낸 답서로서, 당시 성행하던 민란을 염려하는 내용이다.

「잡지(雜識)」·「기몽(記夢)」·「독장자(讀莊子)」·「주계(酒戒)」·「인서변(仁恕辨)」·「강유각둔한수론(姜維却屯漢壽論)」 등에는 그의 학문성향이 나타나 있다.

그밖에 윤낙현(尹洛鉉)의 시사평론집인 『송고칠실록(松皐漆室錄)』과 스승인 유신환이 전의현감(全義縣監)에 재임하면서 편집한 『전의현충효전(全義縣忠孝傳)』 등에 대한 서·발 등이 수록되어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