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월음 ()

고전시가
작품
조선 선조 때 최현(崔睍)이 지은 가사.
정의
조선 선조 때 최현(崔睍)이 지은 가사.
구성 및 형식

모두 78구. 작자의 다른 가사 「용사음(龍蛇吟)」과 함께 『인재속집(訒齋續集)』 권8에 실려 전한다. 제작 시기는 1594년(선조 27)에서 1597년 사이로 추정된다.

내용

임진왜란으로 몽진(蒙塵) 길에 오른 임금을 명월에 비겨, 우국연주(憂國戀主)의 지극한 정을 노래한 내용이다.

처음 “ᄃᆞᆯ아 ᄇᆞᆯ근 ᄃᆞᆯ아/청천(靑天)의 ○ᄂᆞᆫ ᄃᆞᆯ아”의 호격으로 시작하여, 태평성대가 하루 아침에 전운(戰雲)에 휩싸이고 천지가 어둡게 됨을 탄식하였고, 끝에서는 “그럼에도 영허소장(盈虛消長)이/천지(天地)도 무궁(無窮)하니/풍운(風雲)이 변화(變化) ᄒᆞᆫᄃᆞᆯ/본색(本色)이 어ᄃᆡ 가료/우리도 단심(丹心)을 직희여/명월(明月) 볼날 기ᄃᆞ리노라.”로 맺어, 달이 찼다가는 기울고, 구름에 가리웠다가는 어느새 모습을 나타내듯 나라의 환난도 머지않아 물러나리라는 의지를 담았다.

의의와 평가

「용사음」이 직접적인 전란의 상황 속에서의 비분강개를 토로한 내용이라면, 이 작품은 구름에 가린 달을 보는 안타까움을 개인적인 서정에 중점을 두어 서술하였다.

참고문헌

『인재집(訒齋集)』
「인재가사고(訒齋歌辭攷)」(홍재휴, 『김사엽박사송수기념논집』, 1970)
「인재가사연구(訒齋歌辭硏究)」(이동영, 『어문학』 5집, 한국어문학회, 1959)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