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본단 ()

목차
관련 정보
민간용 연두 모본단 겹원삼
민간용 연두 모본단 겹원삼
의생활
개념
수자직으로 정밀하고 윤이나게 제직된 비단.
목차
정의
수자직으로 정밀하고 윤이나게 제직된 비단.
내용

모본단은 날실과 씨실이 배합되어 문양적으로 제직된 단(緞)의 일종으로, 두께는 양단보다 약간 얇다. 대개 단색으로 화려한 각색각문단(各色各紋緞)에 비하면 소박하다.

≪궁중발기≫에는 남모본단·남송모본단·자적모본단·양남모본단·다홍모본단·옥색모본단·금행모본단·홍모본단·다홍별문모본단·연분홍모본단·남오복수모본단·분홍모본단 등이 기록되어 있다.

1915년의 ≪조선휘보 朝鮮彙報≫에는 영국산 목모본단(木摹本緞)이 기록되어 있는데 지나산 견직모본단을 모직(模織)한 순 서양모양과 지나모양의 2종이 있다고 하였다. 또 일본산 모본단의 기록도 있는데 이는 문수자(紋繻子)이며, 생사(生絲)의 교직(交織)된 것이라고 하였다.

이상의 문헌을 통하여 조선시대 말기에는 지나산·영국산·일본산의 모본단이 수입되었음을 알 수 있다. 모본단은 불과 20여년 전까지도 많이 제직되었는데, 꽃무늬에 자주·남·옥색·분홍색 등으로 제직되었다.

주로 견으로 제직된 것이 많았으나 인견과 교직된 것도 있었다. 이것들은 양단보다 값이 싸고 질이 처지는 단이어서 여인의 저고릿감·이불감·조바위·남바위·토시감 등으로 사용되었다. 근래에는 제직되지도 않고 사용되지도 않는다.

참고문헌

『궁중발기』
「직물의 종류에 관한 연구」(민길자, 『국민대학교 교육논총』 6집, 1986)
「한국전통직물의 섬유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민길자, 한양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7)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민길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