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정문집 ()

모정문집
모정문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이시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2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시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2년에 간행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962년 이시수의 아들 이정흠(李庭欽)과 손자 이중기(李中基) 등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말에 권상규(權相圭)의 후서(後序)와 이중기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12권 6책. 석인본. 성암고서박물관(誠菴古書博物館)과 고려대학교 도서관·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내용

권1·2에 시 182수, 권3∼8에 소(疏) 1편, 서(書) 53편, 잡저 18편, 서(書) 7편, 권9∼11에 기(記)·발(跋) 각 7편, 자사(字辭) 4편, 찬(贊)·명(銘) 각 1편, 상량문 2편, 축문 3편, 제문 20편, 애사 3편, 묘지명·묘표·광기(壙記)·광지(壙誌) 각 1편, 행장 7편, 유사 5편, 권12에 부록으로 만사·제문·행장·묘갈명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에는 차운시(次韻詩), 학문적 내용을 주제로 한 시, 정필규(鄭必奎)·권창섭(權昌燮) 등이 포함된 만시(輓詩)와, 서정을 바탕으로 정신적 내면 세계를 읊은 시 등 다양한 제재의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소의 「청갈암선생환사직첩소(請葛庵先生還賜職牒疏)」는 도내(道內) 유생을 대표해 지은 것이다. 숙종 때의 중신(重臣)이었던 이현일(李玄逸)의 직첩을 되돌려줄 것을 청원하는 내용이다.

서(書)와 별지(別紙), 그리고 문목(問目) 등은 주로 김희주(金熙周)·유휘문(柳徽文)·이가순(李家淳)·유치명(柳致明) 등과 성리학(性理學)에 대해 질의 또는 응답하거나 선인들의 문집 간행 등 시사(時事)에 대해 상의하는 것들이다.

여러 편의 「여하계이공(與霞溪李公)」 중 1835년(헌종 1)에 보낸 편지의 별지는 사관(史官)이 역사를 기록할 때 개인적인 주관에 흐르지 말고 엄정, 공평하게 서술해야 함을 날카롭게 지적한 내용이다. 이 밖에 유치명에게 국상(國喪) 때의 복제(服制)에 대해 의논하는 내용과 이황(李滉)의 문집을 중간(重刊)하는 일에 대해 상의하는 내용이 있다.

잡저 가운데 「심경설(心經說)」은 저자가 평생 동안 심혈을 기울여 연구한 학문적 성과가 집적·표출된 것으로 54개 항목에 걸쳐 선인들의 학설을 비교·검토하였다. 한편, 인심도심(人心道心)에 대한 「개도(改圖)」·「신도(新圖)」·「중용4도(中庸四圖)」 등 여러 도식도 함께 수록되어 있다.

관련 미디어 (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