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사 ()

목차
관련 정보
개신교
제도
개신교 교회에서 교인을 지도하고 교회를 이끌어 가며 종교적 임무를 책임지는 전문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목사는 개신교 교회에서 교인을 지도하고 교회를 이끌어 가며 종교적 임무를 책임지는 전문직이다. 교단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교단 산하의 신학 대학원을 졸업하고 소정의 목회 경험을 이수한 후 목사고시에 합격해야 목사 안수를 받을 수 있다. 목사의 칭호는 위임목사 등 다양하며, 여성에게 목사 안수를 허용하지 않는 교단도 있다.

목차
정의
개신교 교회에서 교인을 지도하고 교회를 이끌어 가며 종교적 임무를 책임지는 전문직.
내용

영어의 ‘pastor’에 해당하며 신약 주1의 목양(牧羊)이라는 직능을 의미한다. 교인들의 공동의회에서 선출되는 교회 안의 다른 교직과는 달리, 목사는 정규 신학 과정을 이수한 뒤 일정 기간 동안 교회 치리 기관(治理機關)의 지도 아래 훈련을 마치고 정식 주2를 받은 다음, 기존 교회의 주3을 받아야 목사로서의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목사의 자격은 교파나 교단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다.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의 경우 세례 교인(입교인)으로 7년이 경과하고, 총회직영 신학 대학원을 졸업하여 2년 이상 교역 경험을 가진(군목과 선교 목사는 예외) 총회목사고시에 합격한 30세 이상의 사람에 한한다.

감리교의 경우 목사로 안수받을 이는 준회원 2년 과정을 마치고 연회 과정 고시와 자격 심사를 통과한 후 연회에서 재적 회원 과반수의 출석과 출석 회원 3분의 2 이상 찬성을 받아야 한다. 국외 선교사로 주4 이와 군종 사관 후보생은 예외로 한다.

목사의 칭호는 매우 다양하다. 장로교의 경우 위임 목사를 비롯하여 총 13개가 있다. 위임 목사는 지교회의 청빙으로 주5의 위임을 받은 목사다. 담임 주6는 노회의 허락을 받아 임시로 시무하는 목사로 시무 기간은 3년이다. 부목사는 위임 목사를 보좌하는 목사로 임기는 1년이며 연임할 수 있다. 전도 목사는 노회의 파송을 받아 국내외 연합 기관과 개척지 등에서 전도하는 목사다. 기관 목사는 총회나 노회 및 관계 기관에서 교육이나 문서 사업에 종사하는 목사다. 선교 목사는 다른 민족에게 전도하기 위하여 외국에 파송된 목사다. 교육 목사는 위임(담임)목사를 교육 분야에서 보좌하는 목사다. 이외에도 원로 목사, 공로 목사, 무임 목사, 은퇴 목사, 군종 목사가 있다. 감리교의 경우 준회원과 정회원의 위계가 있어서 일정한 자격 심사를 통해 정회원이 될 수 있다.

한국 개신교 최초의 목사는 감리교의 경우 1901년 김창식(金昌植), 김기범(金基範)주7되었고, 장로교의 경우 1907년 독로회(獨老會)가 조직되어 길선주(吉善宙), 서경조(徐景祚), 이기풍(李基豊) 등 7명이 안수를 받았다. 1910년까지는 대개 선교사와 같은 자격의 목사로 일하다가 그 뒤 단독 목회 주8으로 교회의 주9예배를 담당하게 되었다.

여성에 대한 목사 안수는 교단마다 다르다. 감리교는 광복 이전부터 여성 목사를 허용하였으며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한국기독교장로회, 복음 주10 등의 교단은 광복 이후 허용했다. 한편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 등은 아직도 여성 목사를 허용하지 않고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곽안련(郭安連), 『목사필휴(牧師必携)』 (朝鮮耶蘇敎書會, 1933)
민경배, 『한국기독교회사』 (대한기독교출판사, 1982)

논문

김일환, 「한국장로교회 동사목사 직제의 기원과 변화 연구」 (『韓國敎會史學會誌』 50, 한국교회사학회, 2018)
서원모, 「한국 장로교회 정치 원리와 실제: 1922년 헌법을 중심으로」 (『장신논단』 45-1,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13)
이승구, 「장로교 정치 제도와 장로교적 목회의 특징」 (『장로교회와 신학』 1, 한국장로교신학회, 2004)
주석
주1

기독교의 경전. 예수 탄생 후의 하나님의 계시를 기록한 것으로, 예수의 생애와 언행을 기록한 복음서 4권, 제자들의 선교 활동을 기록한 사도행전 1권, 사도들의 서신 21권, 계시록 1권 등 모두 27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우리말샘

주2

기도를 할 때 또는 성직 수여식이나 기타 교회의 예식에서, 주례자가 신자의 머리 위에 손을 얹는 일. 우리말샘

주3

부탁하여 부름. 우리말샘

주4

일정한 임무를 주어 사람을 보내다. 우리말샘

주5

장로교에서, 각 교구의 목사와 장로 대표들이 모이는 모임. 우리말샘

주6

교회의 행정과 목회를 전담하며, 신도들의 영적인 성장을 지도하고 책임지는 임무를 맡은 목사. 해당 교회의 청빙(請聘)을 받아 노회의 승인을 받는 등의 절차를 거쳐 임명된다. 우리말샘

주7

장립(將立): 목사가 장로로 선정된 신자에게 그 직책을 주는 일.

주8

각 교회 안의 목사로서 당회의 우두머리인 사람. 우리말샘

주9

교리에 불복하거나 불법한 자에 대하여 당회(堂會)에서 증거를 모아 심사 책벌하는 일.

주10

복음주의에 입각한 프로테스탄트 교회를 통틀어 이르는 말. 특히 독일의 루터파 교회를 이른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