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서적 입장에서 본 조선역사 ( 에서 본 )

개신교
문헌
작가 함석헌이 성서적인 입장에서 한국사를 해석하여 1950년에 간행한 역사서.
이칭
이칭
뜻으로 본 한국역사
정의
작가 함석헌이 성서적인 입장에서 한국사를 해석하여 1950년에 간행한 역사서.
편찬/발간 경위/서지적 사항

1930년 평북 정주 오산학교에서 역사를 가르치던 함석헌이 무교회주의 모임에서 강연한 내용을 「성서적 입장에서 본 조선역사」라는 제목으로 『성서조선』에 연재했고, 해방 이후 이를 묶어 1950년 동일한 제목의 단행본으로 출판했다. 여기에 해방과 6·25를 덧붙여서 『성서적 입장에서 본 조선역사』라는 제목으로 1954년 증보개정판을 냈다. 1961년 기존의 원고를 대폭 수정하여 『뜻으로 본 한국역사』 3판을 발간했고, 1965년 다시 4판을 냈는데, 여기에는 4·19와 5·16에 대한 평가와 자신의 입장을 설명한 서문을 덧붙였다. 초판에는 “성서의 자리에서만 역사를 쓸 수 있다.”고 했던 함석헌은 4판에는 “내게는 이제는 기독교가 유일한 참 종교도 아니고, 성서만 완전한 진리도 아니다.”고 자신의 입장을 밝혔다.

내용

함석헌은 그의 저서에서 종교적인 관점에서의 한국사를 보고자 했다. 그는 1930년대 당시 역사학계를 지배하던 유물론적 역사관을 비판하고, 역사를 정신사적 입장에서 보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한국 정신의 핵심을 종교에서 찾고, 한국사에 유교와 불교가 중요한 역할을 감당했지만 근대에 들어서서 이들의 역할이 끝났다고 보았다. 이때 등장한 것이 기독교인데, 먼저 들어온 천주교 역시 이 사명을 잘 감당하지 못했고, 뒤이어 들어온 개신교가 그 역할을 맡았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함석헌은 근대사회에 중요한 역할을 했던 개신교는 해방 이후에 들어와서 그 역할을 제대로 감당하지 못한다는 관점이다.

함석헌은 한국의 역사를 고조선과 고구려를 본류로 하는 민족사관을 갖고 조선역사를 서술하고 있다. 원래 한민족은 만주와 한반도에 그 기반을 두고 있으며, 이것을 가장 잘 표현한 것이 바로 고구려이다. 이런 입장에서 함석헌에게 신라의 삼국통일은 한민족의 무대를 한반도 안으로 축소한 것이며, 북벌을 포기하고 조선을 세운 이성계는 한민족의 염원을 저버린 사람이다. 함석헌은 이런 맥락에서 현재의 남북 분단은 강대국의 장난이며, 민족 주체성이 결여된 행위라고 비판하고 있다.

함석헌의 종교사관, 민족사관은 이어서 한민족의 역사를 고난 받는 민중의 역사라고 이해하는 씨알사상으로 이어진다. 한국의 역사는 강대국에 짓밟힌 고난의 역사이며, 이런 가운데 민중, 곧 씨알은 새로운 사상을 만들어 간다. 그것은 바로 씨알이 주체가 되는 세상이다. 하지만 이런 씨알의 의식을 깨우는 것은 지식인의 책임이라고 보고 있고, 이러한 씨알사상이 민중 신학의 형성에 기여했다고 주장한다.

의의와 평가

함석헌의 역사 이해는 단지 학문적인 토론의 영역이 아니었다. 그의 사상은 항상 그 당시 시대를 주도하는 세력과 부딪히면서 형성되었다. 그는 일제 말에는 『성서조선』에 실린 그의 글 때문에, 해방 이후 이승만 정부에서는 국체를 부정했다는 이유로, 박정희 시대에는 민주화운동 때문에 투옥되었다. 『성서적 입장에서 본 조선역사』는 한국 사회에서 중요한 논쟁점이 되었으며, 또한 한국사를 자신의 역사관으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한국사상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 하지만 함석헌이 전문적인 역사가로 활동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의 책에서 역사가 얼마나 객관적으로 서술되었는지의 문제는 여전히 남아있다.

참고문헌

『뜻으로 본 한국역사』(함석헌, 삼중당, 1966)
『성서적 입장에서 본 조선역사』(함석헌, 성광문화사, 1950)
「『뜻으로 본 한국역사』와 1960년대 함석헌의 민주화운동」(한규무, 『한국사상사사학』29, 2014)
「1930년대 함석헌의 역사인식과 한국사 이해」(조광, 『한국사상사사학』21, 2003)
집필자
박명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