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시룡전 ()

고전산문
작품
조선 후기, 형제 사이의 우애를 주제로 한 작자 미상의 윤리소설.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목시룡전」은 형제 사이의 우애를 주제로 한 조선 후기 작자 미상의 윤리소설이다. 주인공인 시룡과 시호 형제가 시기하지 않고, 서로 극진히 우애하는 내용을 여러 가지 플롯으로 얽어 놓고 있다. 형제 사이의 우애는 고전소설의 중요한 모티프로서, 이 작품은 「적성의전」·「흥부전」·「장현전」·「창선감의록」 등과 함께 조선 후기 우애 담론의 특징을 보여 준다. 또한 이 작품은 지옥의 참혹상을 묘사하고 있는데, 이것은 조선 후기에 등장하는 지옥의 형상화와 명부 체험을 다룬 서사적 전통과 관련이 있다.

정의
조선 후기, 형제 사이의 우애를 주제로 한 작자 미상의 윤리소설.
서지사항

1권 1책. 국문 필사본. 형제 사이의 우애를 주제로 한 윤리소설이다. 국립중앙도서관과 장서각에 있다.

내용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명나라 때 문장과 서예에 능한 목염이란 선비가 있었다. 부인 박씨는 늦게까지 자식이 없자 관음보살에게 발원하여 쌍둥이 아들을 얻었다. 장자를 시룡(始龍), 차자를 시호(始虎)라 하였다.

목 공(목염)은 승상이 되었으나 권신 엄흥의 모해로, 벼슬을 그만두고 고향으로 내려와 살다가 죽는다. 이들 형제는 15세 되는 해에 과거에 급제하여, 시룡은 한림학사, 시호는 간의태부가 된다. 시룡은 아버지의 친구 윤 시랑의 딸과 혼인하고, 시호는 윤 시랑의 형의 딸과 혼인한다.

시호는 효성이 지극하여, 자기가 선산을 수호하고 가묘(家廟)를 모시기 위하여 고향으로 내려가면서 형을 경사에 남아 벼슬하게 한다. 시룡은 엄흥의 참소를 받고 남방으로 유배를 당한다. 유배지로 가던 시룡은 도둑을 만나 아버지의 유서와 자기의 호패를 잃는다.

한편, 고향에 내려가 있던 동생 시호는 주1로 형을 찾아가는 도중 화룡산 밑에 이르러 아버지의 유서와 호패를 발견하고는, 형이 객사한 것으로 알고 비통해 한다. 시호는 제문을 지어 형의 제사를 지낸 후, 유서를 써놓고 강물에 투신한다.

이때 윤 부인 자매가 혈서로 원통한 사정을 써서 황제에게 바치니, 황제가 보고 그 정상을 참작하여 목 한림(목시룡)에게 사면령을 내린다. 황제의 사면을 받고 돌아오던 목 한림은 동정 호반에 이르러 악양루에 올라 갔다가 동생의 유서를 발견하고, 아우를 따라 죽으려고 통곡하던 끝에 기절한다.

목 한림은 청의를 입은 사자를 따라 주2로 들어가 염왕에게 원통한 사정을 아뢰니, 염왕은 형제 사이의 우애하는 마음이 기특하다며 각별히 용서하고 인간 세상으로 내보낸다.

저승을 구경하고 깨어난 목 한림은 동생 없이 살아가느니 차라리 중이 되어 동생의 명복이나 빌겠다는 생각을 하고 황룡사를 찾아가 머리를 깎고 중이 된다.

한편, 강물에 몸을 던졌던 시호는 봉래산 박 도사가 보낸 제자에 의하여 구출되어 봉래산으로 들어가 병법을 공부한다. 그는 박 도사로부터 가달이 황성을 쳐 황제가 위험한 지경에 빠져 있으니 빨리 나가 구출하라는 지시를 받고, 전쟁터로 달려간다.

그는 바야흐로 항복한다는 글을 올리려는 황제를 구출하고 적과 내통한 간신 엄흥을 잡아 처형하니, 황제는 시호를 대원수로 삼는다.

가달을 격파하고 회군하자, 황제는 목 원수(목시호)를 황룡사에 보내어 전사한 장병의 위령제를 지내도록 한다. 목 원수는 황룡사에 가서 중이 되어 있는 형과 만난다. 목 원수가 죽었다고 생각했던 형과 함께 돌아오니, 황제는 크게 반기고, 시룡을 스승으로 삼는다.

의의와 평가

고전소설은 다수의 작품이 형제 사이의 우애를 주제로 한다. 이 작품도 「적성의전(翟成義傳)」· 「흥부전」·「장현전」· 「창선감의록」 등과 함께 조선 후기 우애 담론에 대한 특징을 보여 주며 독특한 국면도 만들어낸다. 이 작품의 특징을 「적성의전」·「흥부전」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적성의전」에서는 간악한 형이 선량한 아우를 시기하여 형제 간의 우애를 파괴하고 결국 죽음을 당한다. 「흥부전」에서는 인색한 형이 착한 아우를 내쫓아 형제 간의 우애를 파괴하지만 아우의 너그러움으로 우애가 회복된다.

이와는 달리, 이 작품에서는 형 시룡과 아우 시호가 서로 미워하거나 시기하지 않는다. 형은 아우를 극진히 사랑하고 아우 또한 형을 극진히 우애하는 내용을 여러 가지 플롯으로 얽어 놓고 있다.

한편, 「당태종전(唐太宗傳)」과 같이 지옥의 참혹상을 묘사하고 있는데, 이것은 조선 후기에 등장하는 지옥의 형상화와 명부 체험을 다룬 서사적 전통과 관련이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인간을 죄악으로부터 구원하고자 하는 작가의식을 엿볼 수 있다.

독창적인 구성과 형제 간의 새로운 윤리 문제를 설정하였다는 점에서 이 작품의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원전

『목시룡전』(장서각본)

단행본

김기동, 『한국고전소설연구』(교학사, 1981)

논문

곽정식, 「고소설에 나타난 명부(冥府)의 형상과 작중 역할」(『어문학』 94, 한국어문학회, 2006)
김기종, 「조선후기 문학작품의 지옥 형상화와 그 성격」(『동양고전연구』 66, 동양고전학회, 2017)
노영근, 「우애있는 형제 이야기의 의미 -〈장현전〉과 〈목시룡전〉을 중심으로-」(『어문학논총』 24, 국민대학교 어문학연구소, 2005)
소인호, 「저승체험담의 서사문학적 전개: 초기소설과의 관련 양상을 중심으로」(『우리문학연구』 27, 우리문학회, 2009)
주석
주1

귀양살이하는 곳. 우리말샘

주2

죽어서 심판받는 곳.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