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식유고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김명진의 시 · 기 · 서(書) · 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김명진의 시 · 기 · 서(書) · 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1권 1책. 영본(零本). 필사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 편자와 필사연도는 알 수 없다. 본문에 낙장이 있어 전모를 살피기 곤란하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시 30수, 기(記) 3편, 서(書) 6편, 책(策)·묘지 각 1편, 제문 2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에는 사실적 기법이 돋보이는 「한원직야여제료작(翰苑直夜與諸寮作)」·「여위농두와작(與謂農斗窩作)」, 암행어사 등의 임무를 수행하면서 느낀 서정을 읊은 「산사작(山寺作)」·「안절영번시제등청각(按節嶺蕃時題登淸閣)」 등을 비롯하여 「경화석파대원군하시운(敬和石坡大院君下示韻)」을 포함한 화답시가 주종을 이룬다.

기 중 「낙영재기(樂英齋記)」는 1888년(고종 25) 저자가 경기도관찰사 재직 3년 되던 해 양주에 있는 낙영재를 수리하고 지은 것으로, 교육의 이념과 필요성을 역설하고 있다. 서(書) 역시 저자가 목민관으로 재임하면서 지은 「상묘당서(上廟堂書)」·「여병판서(與兵判書)」 등이 있다.

책(策)의 「책제(策題)」는 흉년시 구제대책의 요긴한 사항에 대하여 자문을 요청하는 내용으로, 본문은 남아 있지 않다. 이밖에도 「답민병석서(答閔丙奭書)」와 저자의 양부 세균(世均)과 양모 한산이씨(韓山李氏)를 대상으로 지은 묘지 등이 제목만 실려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