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어유훈 ()

목차
언어·문자
문헌
성주군 월봉서당에서 이승희가 인도(人道) · 인사(人事) · 왕통(王統) · 성학(聖學)에 관한 글을 수록하여 1888년에 편찬한 교재.
목차
정의
성주군 월봉서당에서 이승희가 인도(人道) · 인사(人事) · 왕통(王統) · 성학(聖學)에 관한 글을 수록하여 1888년에 편찬한 교재.
내용

1책. 목판본. 대계(大溪) 이승희(李承熙)가 천지, 인물의 생성으로부터 시작하여 인도(人道), 인사(人事), 왕통(王統), 성학(聖學)에 이르기까지의 글을 한문에 한글토를 달아 어린이들에게 교육시키기에 편하도록 편찬하였다. 1935년에 경상북도 성주군 월봉서당(月峯書堂)에서 간행되었다.

앞에 ‘朝鮮開國四百九十七年戊子冬大溪書(조선개국사백구십칠년무자동대계서)’로 끝나는 이승희의 서가 있어서 1888년에 편찬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책 뒤에는 판권지가 붙어 있는데, 이 판권지에 의하면 간행연도가 1935년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어느 책은 1936년으로 되어 있기도 하다.

이 서에 이어서 본문이 나오는데, 6개의 항목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이 항목들은 다시 ‘장’(章)으로 세분하였다. 모두 각 항목별(一理生生, 萬化散殊, 名器錯綜, 聖王立政, 聖學明道, 三才會一)로 구분하였는데, 이를 합치면 모두 34장이나 된다. 이 본문은 모두 한문에 한글로 토를 달아 놓은 것이다.

책의 끝 부분에 ‘몽어유훈자석(蒙語類訓字釋)’이 있는데, 이것은 앞에 나온 한자 중에서 어려운 한자를 익히게 하기 위하여 각 한자에 석음을 달아 놓은 것이다. 모두 420자에 석음을 달아 놓았는데, 이 석음은 『천자문』이나 『유합』에 사용되는 석이 아니라, 그 문맥에 부합하는 석을 달아 놓은 것이다.

이 문헌에는 된소리 표기에 ㅅ계합용병서를 사용하고 있으며(들ᄭᅢ 임 荏, 쥬개ᄲᅧ 박 髆, ᄶᅵ를 착 鑿, ᄯᅩ 유 有), ㅎ구개음화가 나타나고(셕가래 연), ‘에>이’에 대한 과도교정이 보이고, ‘오’의 ‘이’ 역행동화가 일어나며, 어말에 ‘이’가 첨가되는 현상들이 보인다. 몇 가지 점에서 이 자료는 영남방언을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영남(嶺南) 문헌어(文獻語)의 음운사(音韻史) 연구(硏究)』(백두현, 태학사, 1992)
집필자
홍윤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