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 무량사 극락전 ( )

목차
관련 정보
부여 무량사 극락전 정측면
부여 무량사 극락전 정측면
건축
유적
국가유산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무량사에 있는 조선시대 에 창건된 사찰건물.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부여 무량사 극락전(扶餘 無量寺 極樂殿)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불전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63년 01월 21일 지정)
소재지
충남 부여군 외산면 무량로 203, 무량사 (만수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무량사에 있는 조선시대 에 창건된 사찰건물.
내용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사찰의 전각 중에서는 보기 드문 2층 건물로, 1층은 앞면 5칸, 옆면 4칸이고, 2층은 앞면 3칸, 옆면 2칸이다. 바깥쪽에서 보면 2층이지만, 안쪽은 위아래층을 나누지 않고 하나로 통하여 있다.

건물의 앞면에는 기둥과 기둥 사이에 살문을 달았다. 곧 가운데의 정간(正間)에는 4짝의 살문을 달았는데, 그 좌우의 협간(夾間)과 귀퉁이의 툇간(退間)에는 각각 2짝과 1짝씩을 달았다. 양쪽 옆면의 앞쪽 1칸과 뒷면 가운데칸에는 출입문이 나 있으며, 그 밖의 기둥과 기둥 사이에는 모두 널빤지를 세워 널벽[板壁]을 쳤다.

건물 안은 4면에 너비 1칸의 바깥둘레칸을 두고서, 그 안쪽으로 3칸×2칸인 평면을 구분하여 고주(高柱)를 둘러 세웠다. 이 구획의 가운데 뒤쪽에는 제법 높은 불단(佛壇)이 마련되어 있는데, 그 위에는 아미타삼존불(阿彌陀三尊佛)을 모셨다. 1층의 고주는 2층으로 길게 이어져 2층의 네 귀퉁이 기둥이 되었다. 이 기둥 사이는 판벽으로 막아 아주 낮은 벽면을 만들었는데, 벽면에는 빛을 받아들이기 위해서 광창(光窓)이 설치되었다. 건물 안의 바닥에는 마루가 깔려 있다.

건물의 공포는 여느 다포(多包)계 건물처럼 각 기둥의 머리 뿐만 아니라 그 사이에도 배열되어 있다. 공포를 짜 맞춘 포작(包作)의 수는 1층이 안팎 모두 3출목(三出目)인 데에 반해 2층은 안팎 4출목이어서, 출목수에 변화를 주었다. 특히 기둥 위의 쇠서[牛舌]가 풀꽃 모양의 초화형(草花形)이어서 특이하다. 이러한 모습은 내부의 살미첨차가 1장의 장식판처럼 연결되어 구름 모양을 새긴 운공(雲工)으로 처리된 점과 함께 조선 중기 이후에 성행하였던 가구(架構)의 장식화 경향을 잘 보여준다. 천장에는 종보[宗樑] 위에 우물반자를 설치하였고, 아래쪽의 대들보에서 옆면 기둥까지는 대들보와 직각 방향으로 충량(衝樑)을 두었는데, 끝부분에는 용머리 모양이 조각되었다.

이 건물은 조선 중기에 건립된 목조 건물의 양식적 특징을 잘 나타낸 건물로 평가되고 있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보물1(한국문화재보호협회, 대학당, 198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