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륵하생경소 ()

목차
관련 정보
불교
문헌
통일신라시대, 유식 학승 경흥이 편찬, 저술한 『미륵하생경』의 주석서.
문헌/고서
저자
경흥
권책수
1권
내용 요약

『미륵하생경소(彌勒下生經疏)』는 유식 학승 경흥(憬興)이 편찬, 저술한 『삼미륵경소』 가운데 한 권이다. 『한국불교전서』에 수록된 『삼미륵경소』는 『미륵상생경요간기』, 『미륵하생경소』, 『미륵성불경소』 세 가지로 이루어져 있다. 『미륵상생경요간기』, 『미륵하생경소』, 『미륵성불경소』를 각각 따로 저술한 뒤, 후에 합본한 것으로 추정된다.

목차
정의
통일신라시대, 유식 학승 경흥이 편찬, 저술한 『미륵하생경』의 주석서.
구성과 내용

『미륵하생경소』는 내의(來意), 석명(釋名), 강문(講文)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중생을 이롭게 함을 간략하게 설명하는 부분[略辨]'과 '널리 설명하는 부분[廣辨]'으로 나누고, 간략하게 설명하는 부분을 다시 '믿음을 증명하여 경을 전함[證信傳經分]'과 '묻고 대답하는 형식을 통하여 널리 설함[問答廣說分]', '설명을 받들어 행함[聞說奉行分]'의 순서로 해석하였다.

이 글에서는 『증일아함경(增一阿含經)』을 비롯하여 『장아함경(長阿含經)』 등 원시 불전 계통의 문헌을 주로 인용하고 있다. 광변(廣辨) 부분에서는 『유가론(瑜伽論)』 등 유식 계통의 문헌을 주로 인용하고 있다. 특히 미륵이 출현하는 부분과 미륵이 출현해 중생을 교화하는 시기에 대한 양상을 자세히 적고 있다.

상생경(上生經), 하생경(下生經), 성불경(成佛經)이 대승주3 어디에 포함되는가에 대해 경흥은 "① 세 경이 모두 소승이다 ② 상생경은 대승이고 하생경과 성불경은 소승이다 ③ 세 경에 모두 크고 작은 차이가 있으므로(有大小異) 세 경이 모두 대승의 이치임을 의심 없이 알아야 한다"라고 하였다. ②는 남조 말기의 삼론종 승려 혜균(慧均)과 신라의 원효(元曉, 617~686), ③은 법상종의 시조인 당나라 규기(窺基)의 견해와 유사하다. 글의 마지막에 자신의 견해를 밝히는 글쓰기 방식으로 미루어 보았을 때, 경흥은 세 경을 모두 대승으로 보았을 가능성이 있다.

경흥은 붓다가 미륵보살의 공덕에 대해 세 경으로 나누어 말한 까닭은 '중생의 주1나 깨달음의 정도가 같지 않고, 여래의 방편이 하나가 아니여서 근기에 따라 주2할 수 있는 방법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미륵보살이 있는 도솔천에 다시 태어남으로써 이익과 즐거움을 얻을 수 있다고 말하는 '상생경'과 미륵보살이 인간 세상(염부제)에 내려와 성불한 뒤 행한 설법을 들음으로써 작은 깨달음이라도 얻을 수 있다고 말하는 '하생경'과 '성불경' 가운데 경흥이 보다 비중을 두고 설명한 것은 상생경이다.

경흥이 상생경을 중요하게 여겼다는 사실은 『삼미륵경소』 전체의 3분의 2가 상생경에 대한 주석이며, 도솔천 왕생에 대해 자세히 논한 점에서 알 수 있다. 그가 백제 미륵신앙 전통을 계승하여 하생한 미륵불을 강조하였다는 견해도 있으나, 하생한 미륵불을 도솔천 왕생보다 더 강조하였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참고문헌

단행본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HK연구단 편, 「삼미륵경소」(『테마한국불교』 4, 동국대학교 출판부, 2016)
『한국불교전서(韓國佛敎全書)』 (동국대학교 출판부, 1980)

논문

박광연, 「동아시아 미륵경 연구사에서 경흥(憬興)의 위상」(『韓國思想史學』 47, 2014)
박광연, 「경흥 『삼미륵경소』의 도솔천 왕생관」(『한국사연구』 171, 2015)
안계현, 「憬興의 彌勒淨土往生思想」(『진단학보』 26, 1964)

인터넷 자료

기타 자료

주석
주1

교법(敎法)을 받을 수 있는 중생의 능력. 우리말샘

주2

미혹한 세계에서 생사만을 되풀이하는 중생을 건져 내어 생사 없는 열반의 언덕에 이르게 함. 우리말샘

주3

수행을 통한 개인의 해탈을 가르치는 교법. 석가모니가 죽은 지 약 100년 뒤부터 시작하여 수백 년간 지속된 교법으로 성문승(聲聞乘)과 연각승(緣覺乘)이 있다. 소극적이고 개인적인 열반만을 중시한 나머지, 자유스럽고 생명력이 넘치는 참된 인간성의 구현을 소홀히 하는 데에 반발하여 대승이 일어났다.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