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솔천 ()

목차
관련 정보
도솔천 탱화
도솔천 탱화
불교
개념
미륵보살이 머무는 내원과 천인들이 즐거움을 누리는 외원으로 구성된 천상의 정토를 가리키는 이상세계. 지족천.
내용 요약

도솔천은 미륵보살이 머무는 내원과 천인들이 즐거움을 누리는 외원으로 구성된 천상의 정토를 가리키는 이상세계이다. 지족천이라고도 한다. 내원궁은 석가모니가 인도에 태어나기 직전까지 머무르면서 중생교화를 위해 하생할 때를 기다리던 곳으로 지금은 미래불인 미륵보살이 성불할 때를 기다리고 있는 곳이다. 우리나라에서는 도솔천에 상생하기를 바라고 미륵불이 도솔천에서 내려와 용화회상에서 설법하는 자리에 참여하게 되기를 바라는 미륵신앙이 크게 유행하였다. 도솔암 또는 지족암·내원암이라는 명칭의 암자가 전국 곳곳에 많이 존재하는 것은 그 때문이다.

목차
정의
미륵보살이 머무는 내원과 천인들이 즐거움을 누리는 외원으로 구성된 천상의 정토를 가리키는 이상세계. 지족천.
내용

범어 투시타(Tuṣita)의 음역으로서, 의역하여 지족천(知足天)이라고 한다. 즉, 이곳에 사는 무리들은 오욕(五欲)을 만족하고 있음을 뜻한다. 욕계 6천 중 네 번째 하늘로, 욕계 제3천인 야마천(夜摩天)으로부터 16만 주1 위에 위치한다고 한다.

도솔천은 내원(內院)과 외원(外院)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외원은 수많은 천인들이 즐거움을 누리는 곳이고, 내원은 미륵보살의 정토로서 내원궁(內院宮)이라고 부른다. 이 내원궁은 석가모니가 인도에 태어나기 직전까지 머무르면서 중생 교화를 위한 하생(下生)의 때를 기다렸던 곳이다. 미래불(未來佛)인 미륵보살은 현재 이 내원궁에서 설법하면서 주2에 하생하여 성불(成佛)할 때를 기다리고 있다.

『미륵상생도솔천경(彌勒上生兜率天經)』에 의하면, 바라나시국의 칼파리촌에서 태어난 한 브라흐만계급의 아들인 미륵은 부처의 제자가 되어 교화를 받고 마침내 도솔천에 태어나는 영광을 얻는다. 여기서 미륵은 4,000세, 인간의 나이로 56억6700만 년을 보낸 뒤 지상으로 내려와 성불한다. 그 때 이 지상의 국토는 풍요롭고 청정하며 모든 복덕을 갖추고 있어, 미륵불은 첫 모임에서 96억의 사람을 제도하고, 두번째 모임에서는 94억, 세번째 모임에서는 92억의 사람을 제도하여 그들을 모두 성자(聖者)가 되게 하고 8만4000세를 살다가 열반에 든다고 기록하고 있다.

우리 나라에서는 도솔천에 상생하기를 바라고 미륵불이 도솔천에서 내려와 용화회(龍華會)에서 설법하는 자리에 참여하게 되기를 바라는 미륵신앙이 크게 유행하였다. 즉, 미륵보살이 등장하면서부터 총 27천 중 아래에서 네번째에 위치하는 도솔천이 별안간 윤회의 세계에서 벗어나서 불교의 이상세계인 극락과 같은 비중을 점하는 주3로 위치를 굳히게 되었으며, 도솔천도 내 · 외의 이원(二院)으로 분리된 것이다.

이 하늘은 보관(寶冠) · 칠보(七寶) · 광명(光明) · 연화(蓮華) 등으로 장엄되어 있고, 자연히 생긴 악기에서 십선(十善)사홍서원(四弘誓願)을 설하는 음악이 끊임없이 흘러 나온다고 한다. 천인들은 이 음악소리를 듣고 높은 깨달음을 얻고자 발원한다. 신라의 원효(元曉) 등은 불경을 근거로 하여 도솔천에 왕생할 수 있는 아홉 가지 인연을 들고 있다.

끊임없이 정진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자, 탑을 깨끗이 하고 좋은 향과 아름다운 꽃을 공양한 자, 여러가지 삼매(三昧)로써 깊은 선정(禪定)을 닦은 자, 경전을 독송하는 자, 번뇌를 끊지는 못하였지만 지극한 마음으로 미륵을 염불하는 자, 8계(戒)를 받고 청정한 행을 익히며 사홍서원을 잊지 않는 자, 널리 복업(福業)을 닦는 자, 계를 어기고 악을 범하였어도 미륵보살의 자비로운 이름을 듣고 정성껏 참회하는 자, 미륵보살의 이름을 듣고 그 형상을 만들어 향과 꽃 · 깃발로 장식하고 예배하는 자 등이다.

이상과 같이 모든 사람들이 쉽게 수행할 수 있는 실천방법을 갖추었기 때문에 이상적인 불국세계로서 도솔천은 크게 부각되었다. 특히, 백제의 무왕은 미륵보살이 있는 도솔천을 이 땅에 실현시키기 위해서 익산에 미륵사(彌勒寺)를 창건하였다.

신라 법상종(法相宗)의 개산조 진표(眞表)는 변산의 주4에서 3년 동안 고행 참회한 결과, 미륵보살과 지장보살이 도솔천인들을 거느리고 와서 내세에 도솔천에 태어날 것이라는 수기(授記)를 주기도 하였다. 또한, 경덕왕 때의 월명사(月明師)는 하늘에 해가 둘이 나타났을 때 「도솔가」를 지어서 미륵보살을 감동시킴으로써 두 해가 나타나는 괴변이 사라지게 하였다는 것 등이 모두 도솔천에 대한 신앙의 일면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원효는 몇 가지 이유를 붙여서 도솔천이 극락보다 왕생하기 힘든 곳이라고 보았다. 도솔천은 지역이 협소하고, 남녀가 함께 살며, 욕망에 물든 생활이 있으므로 뒤로 물러설 가능성도 있고, 나이가 4,000세로 한정되어 있으므로 중간에 요절할 수도 있다. 좋지 않은 생각이 일어날 수 있는 곳이며, 나쁜 마음을 먹으면 다시 지옥에 떨어질 수 있고 방일(放逸)하여질 우려도 있다. 남자는 아버지 무릎 위에 있고 여자는 어머니 무릎 위에 있으며, 그곳의 설법하는 주인공은 보살이고, 그 법(法)을 들어서 성과(聖果)를 얻는 자도 있고 얻지 못하는 자도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이유를 내세워 도솔천에 왕생하는 것이 서방 극락세계에 왕생하기보다 어렵고, 또 수행조건도 좋지 못함을 지적하였다. 그러나 통일신라시대의 경흥(憬興)은 극락과 도솔천에 관한 원효의 비교를 극락정토신앙의 전파를 위한 하나의 방편설이었다고 평하고, 이러한 비교는 아무런 뜻이 없는 것이라고 하였다. 현재 우리 나라에는 도솔암 또는 지족암 · 내원암이라는 명칭의 암자가 매우 많이 있다. 이는 도솔천과 내원궁을 상징하는 명칭으로 도솔천을 중요시하였던 일면을 보여주는 것이다.

참고문헌

『삼국유사』
『미륵상생경(彌勒上生經)』
『미륵상생경종요(彌勒上生經宗要)』
『선불보(選佛譜)』권2
『종교사화』(이기영, 한국불교연구원, 1978)
『한국불교사연구』(안계현, 동화출판공사, 1982)
주석
주1

고대 인도의 이수(里數) 단위. 소달구지가 하루에 갈 수 있는 거리로서 80리인 대유순, 60리인 중유순, 40리인 소유순의 세 가지가 있다.    우리말샘

주2

수미산 남쪽에 있다는 대륙. 인간들이 사는 곳이며, 여러 부처가 나타나는 곳은 사주(四洲) 가운데 이곳뿐이라고 한다.    우리말샘

주3

부처나 보살이 사는, 번뇌의 굴레를 벗어난 아주 깨끗한 세상.    우리말샘

주4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邊山)에 있던 절. 신라 경덕왕 때 진표(眞表)가 머물렀음. 1백 척 가량이 되는 나무로 만든 계단 아래에 절이 있었으며 그 아래로는 낭떠러지였는데, 해룡(海龍)이 철끈으로 지붕을 묶고 바위에는 정을 박아 세웠다는 설화가 전함.    바로가기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정병조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