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관련 정보
박
국악
유물
통일신라 이래 당악과 향악에서 악절의 끝이나 시작 또는 춤사위의 변화를 지시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타악기.
이칭
이칭
박판(拍板)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통일신라 이래 당악과 향악에서 악절의 끝이나 시작 또는 춤사위의 변화를 지시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타악기.
내용

일명 박판(拍板)이라고도 한다. 좁고 긴 널빤지 여섯 쪽의 상단을 끈으로 묶고 하단 쪽을 양손으로 잡아 열었다가 급속히 닫음으로 해서 맑은 충격음을 낸다. 『악학궤범』에 의하면 박의 대소는 일정하지 않으나, 대개 한 판의 크기는 길이 1척 3촌, 위너비 1촌 9푼에 두께 3푼, 아래너비 2촌 4푼에 두께 4푼으로, 위는 모가 나고 아래는 둥글게 만든다고 하였다.

이런 판을 여섯개 모아 위쪽에 각각 구멍 두 개를 나란히 뚫고, 구멍마다 엽전을 대어 간격을 치고 사슴 가죽으로 꿰어 묶은 뒤, 그 끝에 색실 매듭을 드리운다. 판을 만드는 나무로는 화리(華梨)가 제일 좋고, 다음은 황상(黃桑)ㆍ산유자ㆍ대추나무이며, 그 밖에도 단단하고 빛이 좋은 나무는 모두 쓸 수 있다고 하였다.

『삼국사기』 잡지 악조에 의하면 박이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쓰이기는 신라 때부터인데, 중국에서도 박이 수나라의 구부기(九部伎)에는 보이지 않다가 당나라에 이르러 비로소 나타나는 점으로 보아, 이때 ‘신라’는 당연히 통일신라를 가리킨다 할 것이다.

『고려사』 악지에 의하면 박은 당악과 속악(俗樂:향악)에서 모두 사용되었다. 조선에서도 당악과 향악에 두루 쓰였을 뿐만 아니라 문묘제례악과 같은 아악(雅樂)에까지 확대 사용하고 있다. 집박(執拍)은 박의 아래를 두 손으로 잡고, 칠 때는 왼손을 고정시키고 오른손만으로 박을 가만히 벌렸다가 급속히 도로 닫는다.

『악학궤범』에 의하면 처음에 박을 쳐서 음악을 시작하고, 악절에 따라 박을 치고, 또 급히 쳐서 음악을 그치게 한다고 하였는데, 요즈음은 「보태평」ㆍ「정대업」과 정재(呈才)반주에서만 음악의 중간에 박을 칠 뿐 대개의 경우 시작할 때 한 번 치고, 끝날 때 세 번 침으로써 그 시작과 끝을 지휘하는 법만 남았다.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고려사(高麗史)』
『국역악학궤범』(민족문화추진회, 1980)
『한국악기대관(韓國樂器大觀)』(장사훈, 한국국악학회, 1969)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