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악
물품
관악기의 총칭이거나 지(篪)와 유사한 6공의 관악기 및 조선 궁중에서 사용되던 관악기.
이칭
이칭
상고(相鼓), 무상(撫相)
물품
재질
대나무
용도
음악 연주
제작 시기
조선
관련 의례
제례(祭禮)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관은 관악기의 총칭이거나 지(篪)와 유사한 6공의 관악기 및 조선 궁중에서 사용되던 관악기를 말한다. 조선 태종대에 아악에서 사용된 관은 두 개의 관을 엮은 쌍관으로 6개의 지공을 가지고 있으며, 관의 윗부분으로 김을 넣어 소리낸다. 황종(黃鐘)부터 청협종(淸夾鐘)까지 12율 4청성을 갖추고, 궁중의 아악과 속악에서 사용되었다.

정의
관악기의 총칭이거나 지(篪)와 유사한 6공의 관악기 및 조선 궁중에서 사용되던 관악기.
유래와 역사

『악서(樂書)』에는 선왕(先王)이 관(管)을 만든 것은 그것이 음과 양의 소리에 모두 통달하였기 때문이라 하였다. 중국 한대(漢代) 주1주2에 따르면 관은 다른 관악기 지(篪)와 같이 6공이며, 12월의 음이라 하였다.

『맹자(孟子)』 양혜왕(梁惠王) 하편에 백성들이 주3의 성(聲)과 주4의 음(音)을 듣는다고 하였기에 관은 당시에도 관악기의 총칭으로 사용되었다. 『시경(詩經)』에는 "소관(簫管)"이라는 표현이 등장하는데, 이는 관이 편관(編管) 악기가 아닌 단관(單管) 악기임을 의미한다.

조선 궁중의 주16로서 관은 송(宋)으로부터 대성아악(大晟雅樂)의 유입과 함께 들어오지 않았으나 조선시대 태종대에 아악에서 사용된 기록이 있다. 『세종실록(世宗實錄)』에 세종대 고문(古文)에 의거해 관 둘을 합쳐 연주하기로 한 것을 보면 세종 이전의 관은 단관이었으며, 이후로 쌍관(雙管)으로 연주되었음을 알 수 있다.

형태와 구조

조선 초기 이전에 중국 문헌에 나타난 관은 단관 악기로, 때론 지와 같은 관악기로 6공을 가진 관악기를 의미했다. 하지만 조선 초기 궁중 아악에서 사용된 관은 6공을 가진 두 개의 관을 묶은 형태를 지녔다. 『악학궤범(樂學軌範)』에는 1척 1촌 7푼 길이의 오죽관(烏竹管)의 한 면을 깎아 버리고, 누런 주5로 관대 둘레의 크기에 따라 굵게 또는 잘게 동여맨다고 한다. 『악서』에 따르면 “바닥이 있으며[有底]”라고 하여 지와 같이 십자로 구멍을 낸 바닥을 아래쪽에 대었을 가능성이 보인다.

상단(上端) 첫 마디 뒤쪽을 잘라 마디를 통하게 하는데, 주6은 모두 다섯으로 지공 사이의 거리는 8푼이다. 앞에 낸 다섯 지공을 맨 위로부터 왼손 검지, 왼손 중지, 오른손 검지, 오른손 중지, 오른손 약지로 잡고 연주한다. 관의 위쪽 양단을 위, 아래 입술로 대고 소리를 내면, 소리는 뒷 구멍[後穴]에서 나오는데, 두 관에서 두 소리가 난다.

관은 다섯 구멍을 모두 막은 주7부터 1공과 4공을 막고 세게 역취(力吹)로 불어 내는 주8까지, 모두 12율 4 청성(淸聲)을 갖추고 있다. 『악학궤범』에 제시된 산형(散形)에 따르면 반음(半音)을 내기 위하여 주9이 사용되지 않는 특징이 나타난다. 또한 주11의 경우 주10와 같은 운지법을 하되, ‘잠시 역취’해서 반음 높은 음인 태주를 내도록 되어 있다.

연주 및 활용

조선 초기 주12와 『악학궤범』 등에 의하면 관은 아악 주18에서 모든 등가(登歌)헌가(軒架)에 사용되었고, 속악(俗樂) 진설에서는 주13 주19주20전상악(殿上樂)전정악(殿庭樂), 종묘주15의 헌가 등에서 다른 주21주22와 함께 편성되어 연주되었다. 전정헌가(殿庭軒架)의 경우 『오례의』 전정헌가에서는 관이 편성되었으나 성종대 전정헌가에서는 생략되었고, 그 뒤 『춘관통고(春官通考)』에 의하면 정조 때 아악의 헌가에서만 편성되었는데, 사직 헌가에서는 관 대신 지가 사용되었다. 현재는 연주되지 않는 아악기이다.

참고문헌

원전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맹자(孟子)』
『설문해자(說文解字)』
『세종실록(世宗實錄)』
『시경(詩經)』
『악학궤범(樂學軌範)』
『춘관통고(春官通考)』
주석
주1

중국 후한의 학자(30~124). 자는 숙중(叔重). 고문학을 배우고 육서를 구명하였다. 저서에 ≪설문해자≫, ≪오경이의≫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2

중국 후한 때, 허신이 편찬한 자전. 문자학의 기본적인 고전의 하나로, 한자 9,353자를 수집하여 540부(部)로 분류하고 육서(六書)에 따라 글자의 모양을 분석ㆍ해설하였다. 15권. 우리말샘

주3

종과 북을 통틀어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4

생황, 단소 따위의 관악기를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5

삶아서 익히지 아니한 명주실. 우리말샘

주6

소금(小笒)이나 퉁소 따위에 뚫은 구멍. 우리말샘

주7

동양 음악에서, 십이율의 첫째 음. 육률의 하나로 방위는 자(子), 절후는 음력 11월에 해당한다. 우리말샘

주8

사청성의 하나. 협종에서 한 옥타브 위의 음이다. 우리말샘

주9

국악에서, 관악기 따위를 연주할 때 구멍을 반만 막고 연주하는 법. 우리말샘

주10

동양 음악에서, 십이율의 둘째 음. 육려의 하나로 방위는 축(丑), 절후는 음력 12월에 해당한다. 우리말샘

주11

음력 정월을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2

조선 시대에 세종의 명으로 허조(許稠) 등이 편찬에 착수하고, 세조 때 강희맹 등을 거쳐 신숙주, 정척 등이 완성한 예서. 길례(吉禮), 가례(嘉禮), 빈례(賓禮), 군례(軍禮), 흉례(凶禮)의 오례 가운데 실행하여야 할 것을 뽑아 도식(圖式)으로 엮었다. 성종 5년(1474)에 간행되었다. 8권 8책. 우리말샘

주13

조선 태조와 그 비(妃)인 신의 왕후(神懿王后)의 위패를 모신 사당. 우리말샘

주14

시집간 여자가 친정 어버이를 뵈러 감. 우리말샘

주15

종묘의 안에 있는 사당. 조선 시대에, 왕과 왕비로서 종묘에 모실 수 없는 분의 신위를 모시던 곳으로, 태조의 사대조(四代祖)와 그 비(妃), 대가 끊어진 임금 및 그 비를 모셨으며, 1년에 두 번 정월과 7월에 대관(代官)을 보내어 제사를 지냈다. 태묘의 서북쪽에 있다. 우리나라 보물이다. 우리말샘

주16

아악을 연주하는 데 쓰는 악기. 우리말샘

주17

황종(黃鍾), 태주(太簇), 대려(大呂) 따위의 음들에서부터 한 옥타브 위의 음. 우리말샘

주18

제사나 잔치 때, 음식이 법식에 따라 상 위에 차려져 놓아지다. 우리말샘

주19

몸소 실행함. 우리말샘

주20

일이나 통치 따위를 대신 행함. 우리말샘

주21

향악을 연주하는 데에 쓰는 악기. 우리말샘

주22

중국 당나라 때의 악기.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