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일홍 설화 ( )

목차
관련 정보
구비문학
작품
처녀의 넋이 백일홍꽃으로 피어났다는 내용의 설화.
정의
처녀의 넋이 백일홍꽃으로 피어났다는 내용의 설화.
개설

식물 유래담의 하나로, 신이담(神異譚) 중 기원담에 속하는 이야기 유형이다.

내용

이 설화는 두 가지 종류가 알려져 있는데, 그 하나는 주1 및 영웅의 괴물 퇴치 모티프를 중심으로 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벼랑으로 떨어져 죽은 두 처녀에 관한 것이다. 이 중에서 인신공희와 괴물 퇴치 모티프로 이루어진 유형이 더 알려져 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옛날 어떤 어촌에서 목이 셋이나 되는 주2에게 해마다 처녀를 제물로 바치고 있었다. 어느 해에도 한 처녀의 차례가 되어 모두 슬픔에 빠져 있는데, 어디선가 용사가 나타나 자신이 이무기를 처치하겠다고 자원하였다. 처녀로 가장하여 기다리던 용사는 이무기가 나타나자 달려들어 칼로 쳤으나 이무기는 목 하나만 잘린 채 도망갔다.

보은의 뜻으로 혼인을 청하는 처녀에게 용사는 지금 자신은 전쟁터에 나가는 길이니 100일만 기다리면 돌아오겠다는 약속을 하였다. 만약 흰 깃발을 단 배로 돌아오면 승리하여 생환하는 것이요, 붉은 깃발을 단 배로 돌아오면 패배하여 주검으로 돌아오는 줄 알라고 이르고 떠나갔다.

그 뒤 처녀는 100일이 되기를 기다리며 높은 산에 올라 수평선을 지켜보았다. 이윽고 수평선 위에 용사가 탄 배가 나타나 다가왔으나 붉은 깃발이 펄럭이고 있었다. 처녀는 절망한 나머지 자결을 하고 말았다.

그러나 사실은 용사가 다시 이무기와 싸워, 그 피가 흰 깃발을 붉게 물들였던 것이다. 그 뒤 처녀의 무덤에서 이름 모를 꽃이 피어났는데, 백일기도를 하던 처녀의 넋이 꽃으로 피어났다 하여 백일홍이라 불렀다 한다.

의의와 평가

이상과 같은 이야기는 기본적으로 몇 개의 유명한 모티프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즉 「심청전」의 ‘인신공희’ 모티프, 「지하국대적퇴치설화」의 ‘괴물 퇴치’ 모티프, 「치마바위설화」의 ‘선호의 색깔을 오인한 자결’ 모티프, 「할미꽃설화」의 ‘꽃으로의 환생’ 모티프 등이 그것이다. 『삼국유사』에 수록된 「거타지 설화」, 『고려사』 에 수록된 「작제건 설화」, 「두꺼비의 보은 설화」, 「김녕사굴 뱀설화」 등도 인신공희 모티프와 괴물퇴치 모티프가 결합된 이야기 유형으로 볼 수 있다.

이들 모티프는 서양의 주3 또는 주4 등의 영웅담에도 나타나는 것으로 범세계적인 분포를 보이고 있으며, 구비문학뿐만 아니라 기록문학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쳐 끊임없이 문학의 테마가 되어왔다는 점에서 중시된다.

참고문헌

『조선족민간고사선』(상해문예출판사, 1982)
『백일홍』(길운 정리, 연변인민출판사, 1979)
『한국의 민담』(임동권, 서문당, 1972)
『백화보』(최영전, 창조사, 1963)
주석
주1

사람의 몸을 희생 공물로 바치는 제사 의식. 우리말샘

주2

전설상의 동물로 뿔이 없는 용. 어떤 저주에 의하여 용이 되지 못하고 물속에 산다는, 여러 해 묵은 큰 구렁이를 이른다. 우리말샘

주3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아티카의 영웅. 크레타섬의 미궁(迷宮)에서 괴수 미노타우로스를 물리치고 아마존을 정복하여 아테네를 융성하게 하였다. 우리말샘

주4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영웅. 제우스와 다나에의 아들로, 폴리데크테스의 명령을 받아 괴물 메두사의 목을 베어 죽이고, 귀국하면서 바다의 괴물로부터 안드로메다를 구출하여 아내로 삼았다. 우리말샘

집필자
조희웅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