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우고 ()

목차
관련 정보
범우고
범우고
불교
문헌
전국 8도에 흩어져 있는 절의 존폐 · 소재 · 연혁 등을 정리하여 1799년에 간행한 사적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국 8도에 흩어져 있는 절의 존폐 · 소재 · 연혁 등을 정리하여 1799년에 간행한 사적기.
내용

1책. 필사본. 편자는 미상이나 왕명에 의해서 편찬되었다. 권두에 「정종대왕어제(正宗大王御製)」가 있으며, 판본은 아직 발견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개판(開板)은 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정종대왕어제」는 『홍재전서』 권56 잡저(雜著) 속에 인용되어 있다.

당시의 행정에 따라 전국을 8도로 나누고, 다시 각 지방별로 절의 존폐·위치·거리 또는 각 절에 따른 시문(詩文)과 사적을 밝히고 있다. 각 도별로 보면 경기도는 광주(廣州)외 36개의 군에 소속된 절이 각기 기록되었고, 충청도는 충주 외 53개 군, 경상도는 경주 외 69개 군, 황해도는 황주 외 22개 군, 원춘도는 강릉 외 25개 군, 평안도는 평양 외 41개 군, 함경도는 함흥 외 22개 군, 전라도는 전주 외 55개 군의 절이 각기 인용, 기록되었다.

의의와 평가

현존하지 않는 상당수의 사찰을 이 기록에 의하여 그 소재를 추정할 수 있으며, 나아가 불교고고학 내지 미술사에 귀중한 자료를 제공하여주는 책이다. 물론 거칠고 간략한 감이 없지 않으나, 편찬 당시 전국에 영을 내려 각 지방별로 조사, 기록하였을 것이기 때문에, 조사 당시의 유물상태가 어떠하였는지도 아울러 추정할 수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동국대학교 도서관(權相老 필사본) 등에 있다.

참고문헌

『홍재전서(弘齋全書)』
『한국불교찬술문헌총록(韓國佛敎撰述文獻總錄)』(불교문화연구소, 동국대학교출판부, 1976)
관련 미디어 (5)
집필자
장충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