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학지남연의 ()

목차
관련 정보
병학지남연의
병학지남연의
국방
문헌
조선후기 무신 이상정이 『병학지남』의 어구와 내용을 알기 쉽게 해설한 군서. 병서.
목차
정의
조선후기 무신 이상정이 『병학지남』의 어구와 내용을 알기 쉽게 해설한 군서. 병서.
내용

3책. 필사본. 군대의 조련과 전쟁에서 군대를 지휘·통솔하는 방법을 명시한 『병학지남』을 해석한 책이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 명나라 원병을 이끌고 온 제독 이여송(李如松)이 명장 척계광(戚繼光)이 저술한 『기효신서(紀效新書)』 18권을 가지고 들어와 왜적토벌에 많은 공을 세웠다.

그 때 이여송은 영의정인 유성룡(柳成龍)에게 『기효신서』를 주어서 활용하게 함으로써 임진왜란 평정에 큰 공을 세웠다고 한다. 그 뒤 정조가 『기효신서』 중에서 군사조련법만을 골라 『병학지남』을 편찬하기에 이른다. 이 책은 이상정이 『병학지남』의 어구와 내용을 알기쉽게 해석한 것이다.

이 책의 내용을 보면, 권1은 기고정법(旗鼓定法)과 총결(總訣)로 형명(形名)·신위(申威) 등 18편, 권2는 영진정구(營陣正彀)로 기정(奇正)·악기(握奇) 등 25편, 권3은 장조정식(場操程式)·야조정식(夜操程式)·분련정식(分練程式)·성조정식(城操程式)·수조정식(水操程式)으로 오교(五敎)·납항(納降) 등 13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원문에는 권3·4에 영진총도(營陣總圖) 상·하가 있으나 연의에는 빠졌다. 원본인 『병학지남』의 해설은 항목별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항목을 기재한 뒤 난을 바꿔 첫머리에 검은 판에 흰 글씨로 ‘연의’ 두 글자를 표시한 뒤 자구해석을 했다.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것[綱]은 큰 글자로 해석하고, 해석은 필요하나 그리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되는 것은 분주(分註)의 방법으로 작은 글자를 썼다.

분주에서는 전체적인 원문의 해석을 시도하였는데, 주로 칠서(七書)인 『손자(孫子)』·『오자(吳子)』·『육도(六韜)』·『삼략(三略)』·『사마법(司馬法)』·『위료자(尉繚子)』·『병법문대(兵法問對)』 등에서 인용했고, 더러는 유가의 경전이나 유학자들의 말을 인용하기도 했다.

또한 『제자백가(諸子百家)』를 방인하여 확실한 증명을 시도했으며, 심지어는 가담(街談)과 초동(樵童)들의 말을 인용하여 철저를 기했다. 간혹 자기의 견해가 필요하다고 생각될 때는 ‘우왈(愚曰)’ 두 자를 머리에 기록한 뒤에 하고자 하는 내용을 서술했다.

이 책을 해석함에 있어서는 저본(底本)인 『기효신서』를 표준으로 삼아 처리하고, 한자해석으로 그 뜻이 완전히 전달될 수 없다고 생각되는 것은 난외에 ‘듣보아[聽], 그대로 하다[依]’ 등 한글로 해석했다.

의의와 평가

이 책은 군사에 관한 조련을 비롯하여 부대배치·진법·행군·호령 등을 설명한 설명서를 해설한 것이라는 데 의의가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기효신서(紀效新書)』
『병학지남(兵學指南)』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권오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