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벽몽유록 ()

목차
한문학
작품
작자 · 연대 미상의 한문소설.
목차
정의
작자 · 연대 미상의 한문소설.
내용

작자·연대 미상의 한문소설. 필사본. <금화사기 金華寺記>와 합철되어 전한다. 한 줄에 스물 두자 내외로 매면 9행, 총 다섯장 반의 분량이다. 현전하는 몽유록계 소설 가운데 가장 짧다. 작품 속의 몽유자는 단지 ‘여(予)’라고만 표기되어 있어 인물의 성격이나 창작의도를 분명히 알 수 없다. <부벽몽유록>의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몽유자가 기경(箕京), 즉 평양의 부벽루에 올라가 늦은 봄의 아름다운 경치를 완상하다가 술에 취해 잠든다. 이 때 거마(車馬)소리가 요란하게 나면서 선녀들이 나타난다. 영명사(永明寺)의 솔·잣나무 숲속에서 선녀들이 무리를 지어 봄바람에 치맛자락을 날리며 노래와 춤을 즐긴다.

자세히 보니 깃대에는 ‘관서투색장군사소랑지사명(關西妬色將軍士小娘之司命)’이라 쓰여 있었다. 그 아래에는 이매랑(二梅娘)이 앉았고, 여러 기녀들이 차례로 앉아 담소하고 있었다.

잠시 후 어디서인지 절색의 미녀 세 사람이 초췌한 모습으로 홀연 나타났다. 그녀들은 당명황(唐明皇)의 총애를 받던 양귀비(楊貴妃)와 한무제(漢武帝)의 총희였던 이부인(李夫人), 그리고 초패왕(楚覇王) 항우(項羽)의 애희(愛姬) 우미인(虞美人)이었다.

사소랑(士小娘)이 이들을 맞이하여 단 위에 올라오게 하고서 이곳에 온 연유를 물었다. 세 여인은 차례로 자신들이 살았을 때에 쌓인 평생의 한과 죽은 뒤에 오랜 동안의 원망을 하소연하였다.

사소랑이 이들의 사연을 들은 뒤에 거문고를 뜯으며 이들을 위로하였다. 이 소리를 듣고 그녀들은 기뻐하였다. 그리고 오래도록 사소랑을 만나고 싶었어도 유명(幽冥)이 달라서 뜻을 이룰 수 없었음을 말하였다. 그리고 즐겁게 어울려 노닐었다. 이 때에 새의 구슬픈 울음소리와 산사(山寺)의 종소리에 잠에서 깨어났다. 하늘을 바라보니 해는 이미 서편으로 기울었고, 행인들의 자취도 끊기고 없었다.

<부벽몽유록>의 작중화자인 여는 작품 속에서 철저한 관찰자로만 나타나고 있다. 몽유중의 주인공 사소랑의 앞에는 ‘관서투색장군’이란 관사가 붙어 있다. 이 관사는 작품 속에서 세 미녀의 등장과 ‘투색(妬色)’, 즉 ‘아름다움을 시새운다’는 의미를 연상시켜 흥미를 더해 준다. 세 미녀가 모두 역사상의 실존인물이고 사소랑은 허구적 존재이다.

<부벽몽유록>의 작품 서두에 서술된 부벽루 주변 경관의 묘사는 압축적인 대우(對偶)의 사용과 아름답고 미려한 필치로 읽는 이의 흥취를 돋우어준다. 그러나 서두의 우아한 문장의 구사에 비해 실제 몽유의 과정에서 세 미녀가 각기 한 차례씩 하소연하는 것으로만 끝나고 있다. 따라서 주제를 효과적으로 표출하는데는 성공하지 못하였다. 단순히 승경(勝景)과 어우러진 잠깐 사이의 몽환(夢歡)을 묘사하는 데 그치고 말았다.

<부벽몽유록>이 <금화사기>와 합철되어 있는 것으로 보면 당시에 <금화사몽유록 金華寺夢遊錄> 등의 이름으로 널리 읽혀졌던 <금화사기>를 필사하면서 생긴 흥취를 이어서 지은 것으로 생각된다. 강동엽(姜東燁)이 소장하고 있다.

참고문헌

『몽유록계구조의 분석적 연구』(차용주, 창학사, 1980)
『몽유록소설연구』(유종국, 아세아문화사, 1987)
집필자
정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