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덕전 ()

채제공의 번암집 중 만덕전
채제공의 번암집 중 만덕전
한문학
작품
조선 후기에 채제공(蔡濟恭)이 지은 전(傳).
정의
조선 후기에 채제공(蔡濟恭)이 지은 전(傳).
구성 및 형식

제주 여인인 김만덕의 선행을 기록한 작품으로 『번암집(樊巖集)』에 실려 있다. 실제인물 만덕의 의롭게 재물을 쓸 줄 아는 마음을 기리고, 또 그녀의 선행을 내외에 널리 알려 만인의 귀감으로 삼고자 지은 글이다.

내용

만덕은 성이 김씨로 제주 주1의 딸로 태어났다. 그러나 어려서 부모를 잃고 생계를 위한 방편으로 주2에 이름을 올린다. 그녀는 기생의 신분이었지만 몸가짐을 단정히 하여, 스무 살이 넘자 울면서 자신의 뜻을 관에 아뢰어 양인(良人)으로 환원되었다. 만덕은 제주의 남자들이 용렬하다 하여 혼인하지 않고 지냈다. 그녀는 장사에 수완이 뛰어나 수십 년 사이에 대단한 부자가 되었다.

1795년(정조 19) 제주에 큰 기근이 들어 굶어죽는 이가 많았다. 나라에서 이들을 주3하고자 하였으나 도저히 감당하지 못하였다. 이때에 만덕이 천금을 들여 육지에서 쌀을 사왔다. 그 쌀로 친족을 구휼하고, 관가에도 보내어 부황난 백성을 구휼하게 하였다. 그래서 제주에서는 만덕의 은덕을 칭송하지 않는 이가 없었다.

제주목사가 만덕이 백성을 구휼한 일을 적어 임금께 올렸다. 임금이 기특히 여겨 칭찬하고, 만덕의 소원하는 바를 들어 시행하게 하였다. 만덕은 서울과 금강산 구경이 소원이라고 말하였다. 만덕은 제주 여자는 뭍에 오를 수 없다는 금기를 깨뜨리고 소원을 이루었다. 그녀의 소문이 장안에 널리 퍼져 사람들이 다투어 몰려들어 그녀를 만났다. 그녀는 도성과 금강산을 두루 구경한 뒤 다시 제주로 돌아갔다. 이때 그녀의 나이 58세였다.

의의와 평가

「만덕전」은 여자 혼자의 몸으로 남자도 하기 힘든 여러 역경을 딛고 해낸 것에 대한 찬탄과, 임금의 배려로 제주 여자가 서울과 금강산 나들이를 하게 된 보기 드문 성사(盛事 : 훌륭한 일)를 기록한 것이다. 채제공「이충백전(李忠伯傳)」 등과 같이 조선 후기 주4을 주제로 한 여타의 전(傳)들과 궤를 같이하는 작품이다. 당시의 도탄에 빠진 민생과 각박한 주5에 대한 주6의 뜻을 담고 있다.

참고문헌

『이조한문학사(李朝漢文學史)』(이가원, 보성문화사, 1986)
주석
주1

양민의 집. 우리말샘

주2

관아에서 기생의 이름을 기록하여 두던 책. 우리말샘

주3

재난을 당하거나 가난한 사람들에게 돈이나 물품을 주어 도움. 우리말샘

주4

정의를 위하여 강자에 맞서서 약자를 도와주는 의로움이 있음. 또는 그런 사람. 우리말샘

주5

세상의 사정이나 형편. 또는 세상 사람들의 인심. 우리말샘

주6

잘못함이 없도록 타일러 주의시킴.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정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