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만덕 ()

제주 김만덕 묘비 정면
제주 김만덕 묘비 정면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후기 1795년 흉년과 관련된 상인.
인물/전통 인물
성별
여성
출생 연도
1739년(영조 15)
사망 연도
1812년(순조 12)
본관
김해(金海)
출생지
제주도
관련 사건
1795년(정조 19) 흉년
내용 요약

김만덕은 조선후기 1795년 흉년과 관련된 상인이다. 1739년(영조 15)에 태어나 1812년(순조 12)에 사망했다. 제주도 출신으로, 상인이던 부친이 풍랑을 만나 사망하고 어머니마저 죽자 외삼촌 집에 기거하며 어린 나이에 기적에 오르게 되었다. 이재에 밝아 배를 만들어 육지와 미곡 무역을 하며 거상으로 성장했다. 제주도에 흉년이 들자, 1795년에 자신의 재산으로 육지의 곡식을 구매하여 백성들을 구휼했다. 그녀의 선행이 조정에 보고되자 정조는, 출륙하여 금강산 관광과 궁궐 구경을 하고 싶다는 김만덕의 소원을 들어주었다.

정의
조선후기 1795년 흉년과 관련된 상인.
개설

본관은 김해(金海)이다. 제주도 출신으로 기녀 신분에서 상업을 통해 거상이 되었다. 제주도에 흉년이 들자, 1795년(정조 19)에 자신의 전 재산으로 육지의 곡식을 구매하여 백성들을 구휼하였다. 이에 대한 상으로 정조는 주1하여 금강산을 관람하고 싶다는 김만덕의 소원을 들어주었다.

생애

아버지 김응렬(金應悅)과 어머니 고씨와의 사이에 2남 1녀로 북제주군 구좌읍 동복리(지금 제주시 구좌읍 동복리)에서 태어났다. 오빠 김만석(金萬碩)과 김만재(金萬才)가 있다.

아버지 김응렬은 전라도 나주와 제주를 오가며 제주의 미역 · 전복 · 귤 등을 팔고, 육지의 쌀을 제주에 가지고 와서 파는 상인이었다. 김응렬은 김만덕이 11세 되던 해에 나주에서 돌아오던 중 풍랑을 만나 사망하였고, 이듬해에 어머니도 그 충격으로 사망하였다.

이후 외삼촌 집에서 살았던 김만덕은 퇴기 월중선(月中仙)에게서 성장하게 되며 어린 나이에 기적에 오르게 되었다. 그녀가 20살 되었을 때 관아에 가서 양인의 신분을 회복해 줄 것을 요청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제주 목사 신광익(新光翼)과 판관 한유추(韓有樞)를 찾아가 부모를 잃고 가난으로 부득이 기녀가 된 사정과 양인으로 환속시켜줄 것을 요청하였다.

김만덕은 재물을 모으는데 능하여서 상인으로 활동하며 많은 재산을 축적하였다. 그녀는 배를 만들어 육지와 미곡을 무역했고, 이 과정에서 상당한 이득을 취하였다. 이는 물가의 변동을 잘 파악하여 적절한 시기에 물건을 사고팔았던 상인으로서의 능력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김만덕은 1790년(정조 14)부터 제주도에 흉년이 들어 제주 사람들이 기아에 허덕이자, 재산을 내놓아 배를 마련하고 육지에서 곡물을 사들여 구호곡(救護穀)으로 쓰게 하였다. 이러한 선행은 1796년(정조 20) 조정에 보고되었다.

정조는 그녀에게 면천(免賤)시키는 것으로 상을 주려고 하였으나, 김만덕은 이를 사양한 후 바다를 건너 상경하여 금강산을 유람하기를 청하였다. 이에 구휼에 대한 상으로 정조의 허락을 받은 그녀는 제주 여인으로는 예외적으로 육지로 나와 한양에 머무르고, 금강산을 유람한 후제주도로 돌아갔다. 1812년(순조 12)에 사망하였다.

활동사항

김만덕은 상인으로 활동하였다. 그녀는 주2에 능하여 객주를 차리고 제주의 특산물인 말총 · 미역 · 전복 · 우황 · 진주 등을 육지에 팔았고, 기녀 시절의 경험을 바탕으로 양반층 부녀자의 옷감, 장신구, 화장품 등을 공급하였다. 또한 육지의 곡물을 제주에 가지고 와서 팔기도 하였다. 이러한 상업 활동을 통해 많은 재산을 모을 수 있었다.

김만덕은 정조대 제주도에 극심한 흉년이 들었을 때 재산을 털어 백성들을 구휼하였다. 제주도는 흉년에 취약한 지역으로 1790년(정조 14) 이래 흉년과 태풍의 피해가 컸고, 많은 백성들이 굶어 죽었다.

1794년(정조 18)에는 바람과 해수로 인한 피해를 크게 입자, 제주목사였던 심낙수(沈樂洙)가 조정에 구휼미 2만 섬을 요청하기도 하였다. 당시 흉년은 100여 년 만에 있을 정도의 큰 재변이라 할 만큼 참혹하였다.

1795년(정조 19) 윤2월 조정에서는 5천 섬의 구휼미를 제주도로 내려보냈으나, 쌀을 실은 배 12척 가운데 5척이 난파당하는 피해가 발생하였다. 이때 김만덕은 육지의 곡식을 사서 제주도 백성들을 구휼하는 자선을 베풀었다.

또한 김만덕은 1천금을 내놓아 배를 마련하고 육지로 건너가 연해의 곡식을 사들여 친척들과 은혜를 입은 사람들을 도와준 후, 나머지를 모두 관아로 보내어 굶어 죽어가는 백성들을 도와주도록 하였다. 그녀의 선행이 조정에 보고되자, 정조는 그녀의 소원인 금강산 유람을 허락해 주었다.

그 당시 제주도민들은 제주도를 떠날 수 없었다. 이때 김만덕은 한양의 대궐을 구경하고 싶다는 소원도 부탁하였는데, 평민 여성이 대궐에 들어가는 것도 당시로서는 불가능한 일이었다. 정조는 김만덕의 소원을 들어주기 위해 그녀를 내의원 ‘차비대령 행수의녀’라는 임시 직책을 하사하여 그가 무사히 한양으로 올 수 있게 하였다.

1796년(정조 20) 김만덕은 한양에 도착하여 우의정 윤시동(尹蓍東)의 부인 처소에서 지냈으며, 궁궐에 나아가 혜경궁 홍씨를 비롯한 왕실 어른들을 만났다. 정조는 당시 초계문신(抄啓文臣) 주3에 ‘만덕전’을 주제로 하여 시험을 치르도록 하였다. 김만덕은 이듬해 봄까지 한양에서 지내다가 금강산으로 가서 명승지를 두루 구경하고 제주도로 돌아왔다.

상훈과 추모

1812년(순조 12) 10월 사망한 후 한 달 뒤에 ‘구묘비문(舊墓碑文)’이 세워졌다. 김만덕이 사망한 지 30여 년이 지난 1840년(헌종 6) 추사 김정희(金正喜)가 제주도에 유배되었을 때, 김정희는 김만덕의 양자 김종주(金鍾周)에게 ‘은혜의 빛이 온 세상에 퍼졌다.’는 뜻의 ‘은광연세(恩光衍世)’라는 편액을 써서 주었다.

참고문헌

『정조실록(正祖實錄)』
『일성록(日省錄)』
『번암집(樊巖集)』
『조선을 사로잡은 꾼들』(안대회, 한겨레출판, 2010)
「만덕 이야기의 전승과 연구의 사적 전개」(윤치부, 『의녀 김만덕 활약상 자료조사 연구 보고서』, 김만덕기념사업회, 2004)
주석
주1

배를 타고 육지를 떠남.    우리말샘

주2

집안 살림살이를 잘 돌보고 다스림.    우리말샘

주3

임금이 몸소 과장(科場)에 나와 시험 성적을 살피고 급제자를 정하던 일. 또는 그 시험.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임혜련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