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낙수 ()

은파산고
은파산고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고부재자관, 희천군수, 제주목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39년(영조 15)
사망 연도
1799년(정조 23)
본관
청송(靑松)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고부재자관, 희천군수, 제주목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청송(靑松). 자는 경문(景文), 호는 일환재(一丸齋) · 은파(恩坡). 영의정 심지원(沈之源)의 현손이며, 심사만(沈師晩)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심동진(沈東鎭)이고, 아버지는 심형운(沈亨雲)이다. 어머니는 승지 김고(金槹)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어려서 아버지를 여의고 홀어머니 밑에서 자랐으며 가정이 빈한했으나 효행으로 이름이 있었다. 1775년(영조 51) 식년문과에서 장원으로 급제하여 성균관전적을 지냈다. 정조 초년에는 주로 삼사(三司)의 관직을 역임하면서 홍국영(洪國榮) · 김종수(金鍾秀) · 심환지(沈煥之)김구주(金龜柱)의 당여로 격렬하게 공격하였다.

1786년(정조 10) 문효세자(文孝世子)가 죽자 고부재자관(告訃齎咨官)으로서 청나라에 다녀왔다. 1790년 이후에는 희천군수 · 제주목사 등 외직을 역임했다. 이는 심낙수의 언론이 과격하여 심낙수를 아끼는 친구 서유린(徐有隣)의 뜻이었다고 한다. 1795년 이후 정계에서 은퇴하고 고향인 파산(坡山)에서 은거하다가 죽었다.

홍양호(洪良浩) · 심이지(沈頤之) · 홍낙순(洪樂舜) · 이규경(李圭景) 등과 친밀한 관계를 유지했으며, 심환지와도 가까운 사이였다. 그러나 김구주와 함께 홍봉한(洪鳳漢) 공격을 의리로 삼자 심환지와 결별하였다. 그 뒤 남 · 북당의 분열을 화의 근본이라 하여 모두 제거해야 한다는 입장을 취하고, 심환지 · 김종수 · 유언호(兪彦鎬)를 맹렬히 공격함으로써 이른바 시파(時派) 언론의 선봉이 되었다.

이 때문에 신유사옥 때는 관작이 추탈되었다가 6년 후에 신원되기도 하였다. 이는 심낙수의 처가 홍봉한의 친우인 이사질(李思質)의 딸이기 때문이기도 하며, 또 심낙수의 할머니의 할아버지인 최규서(崔奎瑞) 집안의 영향을 받아 탕평책을 적극 지지했기 때문인 것 같다.

김창협(金昌協)의 문집을 보고서 세상의 이치를 깨달았다고 하며, 김양행(金亮行) · 김원행(金元行)의 정치적 입장을 따랐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권상하(權尙夏)의 증손인 권진응(權震應)과 혼인 관계를 맺기도 해서 호락논쟁(湖洛論爭: 권상하의 문인들이 인간과 동물의 성품이 같은가 다른가에 대해 벌인 논쟁)을 세도의 화근이라 보았다.

이러한 입장에서 『은파산고』를 지었다. 시파의 입장에서 벽파(僻派)에 해당하는 인물들의 전기를 남겼으며 그 본말의 기록을 자신의 입장에서 자세하게 기술하였다.

참고문헌

『영조실록(英祖實錄)』
『정조실록(正祖實錄)』
『은파산고(恩坡散稿)』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