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재문집 ()

목차
관련 정보
평재문집
평재문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권태직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74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권태직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74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6권 3책. 석인본. 1974년 아들 영식(寧軾)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조규철(曺圭喆)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영식과 영민(寧敏)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성균관대학교 도서관·사우당 종택에 있다.

권1에 시 209수, 권2·3에 서(書) 109편, 권4에 잡저 10편, 권5에 잡저 4편, 기(記) 4편, 축문 5편, 제문 24편, 애사·묘지명·묘표·가장 각 1편, 권6에 부록으로 가장·행장·묘갈명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서(書)에는 경의(經義)로 스승 및 여러 학자들과 문대(問對)한 것이 많다. 특히, 「상척암김선생(上拓庵金先生)」과 「상소눌노선생(上小訥盧先生)」 등은 김도화(金道和)·노상직(盧相稷)과 상례(喪禮)와 경전 해석상의 여러 문제에 대해 문목(問目)을 두어 문답한 것이다.

잡저의 「경의문대(經義問對)」는 주로 『논어』의 주요 대목에 대해 문답 형식으로 자신의 견해를 밝힌 것이다. 「이제론(夷齊論)」은 지위를 탐하여 서슴없이 나라를 팔아먹는 조정 대신들을 겨냥하여 백이와 숙제의 의리 정신이 땅에 떨어짐을 통탄한 내용이다.

「극기론(克己論)」에서는 자기를 이기는 극기 공부야말로 가장 중요한 공부임을 강조하여 후학을 권면하였다. 「학교론(學校論)」에서는 고금에 있어 학교의 기능이 어떤 차이가 있는가 하는 물음에 대한 대답의 형식을 빌려 신·구 학문의 차이를 설명하였다.

신학문이 인간 본연의 떳떳한 길인 성현의 도를 외면하고 이해와 실용에만 치중하여 예의가 땅에 떨어지고 인의가 행해지지 않는 폐단을 지적하였다. 「일월식설(日月蝕說)」과 「조석설(潮汐說)」·「기형설(璣衡說)」 등은 저자가 천문 등 자연 현상에도 남다른 관심을 가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기설편고(理氣說便攷)」는 사칠이기(四七理氣)에 대한 제가의 견해를 간략히 제시한 뒤 자신의 생각을 덧붙였다. 「독성호균전론(讀星湖均田論)」은 이익(李瀷)의 「균전론」을 읽고 이에 대한 찬동의 뜻을 표시하고, 국가에 있어 토지 문제의 중요성에 대한 견해를 피력한 것이다.

초기 경학의 본질적 문제에서 도탄에 빠진 민생과 직결된 문제로 학문적 관심이 옮겨가는 과정을 볼 수 있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정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