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송암문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유학자, 최정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7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유학자, 최정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7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8권 1책. 연활자본. 1937년 문인들의 발의로 나석기(羅錫璂)·최응식(崔膺植)·송관헌(宋觀獻)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약력과 나석기의 서문이, 권말에 김보건(金輔鍵)·송관헌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47수, 권2·3에 서(書) 98편, 권4에 서(序) 56편, 권5에 기(記) 22편, 권6에 발(跋) 4편, 애사 및 제문 16편, 권7에 장(狀) 및 사소(辭疏) 11편, 권8에 비명 19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 가운데에는 벗을 찾아가거나 부벽루나 석왕사 등 명승을 찾은 감회를 읊은 것이 있고, 그 밖에 계절의 느낌을 노래한 시들과 「자경(自警)」 9수와 같이 삶의 자세를 가다듬는 차분한 어조의 작품도 있다.

서(書)는 29편이 아들 억아(檍兒)에게 보낸 것으로, 학문하는 마음가짐과 일상의 관심사를 주고받은 내용이다. 그 밖에 벗이나 문하 제자들과 주고받은 편지가 많다.

기 중 「노가기(老檟記)」는 저자의 집 근처에 있던 300∼400년은 되었음직한 늙은 오동나무가 오랜 풍파에도 의연한 모습을 지녀오다가 어느날 갑자기 몰아친 비바람에 뿌리를 상하여 넘어지게 되자 마침내 사람들의 땔나무감이 되어 없어지고 말았다는 내용으로, 그렇게 오랫동안 서 있던 나무가 불과 몇 년 만에 자취도 없이 사라진 것을 보며 인간사에 견주어 씁쓸함을 달랜 글이다.

그 밖에 여러 서문에서 당시 관서지방 유림의 교유의 자취를 찾아볼 수 있어, 당시 이 지역의 분위기를 이해하는 데 좋은 참고가 된다. 그 밖에 그때그때 요청에 따라 지은 글이 많으나 저자의 학문이나 사상의 구체적 내용은 두드러지게 보임이 없다.

집필자
정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