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칭 ()

목차
언어·문자
개념
분명하지 않거나 알려지지 않은 인물이나 대상을 가리키는 대명사.
목차
정의
분명하지 않거나 알려지지 않은 인물이나 대상을 가리키는 대명사.
내용

그 가리키는 대상이 분명하지 않아 확실하게 정하여지지 않을 때를 부정칭, 그 가리키는 대상이 누구인지, 무엇인지, 어디인지를 모를 때를 미지칭이라 하여 이를 세분하여 말하기도 하나, 이들을 합하여 부정칭이라고도 한다.

부정칭과 미지칭은 어떤 종류의 문장에 나타나느냐에 따라서 구분되는 일이 많으며, 초점강세와도 밀접히 관련된다. 예를 들어 ‘누구’가 “누가 왔습니다.”와 같이 평서문에 사용되면 부정칭이고, “누가 왔습니까?”와 같이 의문문에 사용되면 미지칭이 되는 것이 일반적인 예이다. 그러나 의문문이라고 하더라도 ‘누구’에 초점강세가 놓이지 않으면, 미지칭이 아니라 부정칭으로 해석되며, 또한 ‘아무’는 부정칭으로만 사용되어 미지칭으로 사용되는 일이 없다. 인칭대명사의 부정칭으로는 ‘누구·아무·아무개’ 등이 있고 지시대명사의 부정칭에는 사물에 관계되는 ‘무엇·아무것’과 장소에 관계되는 ‘어디·아무데’ 등이 있다. 부정칭을 부정대명사, 미지칭을 의문대명사 또는 의문사라고도 한다.

참고문헌

『현대 국어 의문사의 문법과 의미 』 (이은섭, 태학사, 2005)
『깁고고친 우리말본』(최현배, 정음사, 1959)
『국어문법사연구』(강복수, 형설출판사, 1972)
『개정국어사개설』(이기문, 민중서관, 1972)
『국어문법논고』(서병국, 학문사, 1977)
「국어의 의문사에 대한 연구」(김광해, 『국어학』 12, 1983)
『국어 의문문연구』(서정목, 탑출판사, 1987)
A Korean Grammar(Ramstedt,G.J., Helsinki, 1939)
집필자
임홍빈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