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설사십이장경 ()

목차
관련 정보
불조삼경 / 보물 제694호
불조삼경 / 보물 제694호
불교
문헌
고려후기 전주 원암사에서 법공과 윤선이 행심의 발원으로 1361년에 간행한 불교경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후기 전주 원암사에서 법공과 윤선이 행심의 발원으로 1361년에 간행한 불교경전.
서지적 사항

1권 1책. 목판본. 『불조삼경』(보물, 1981-1 지정) 및 『불조삼경』(보물, 1981-2 지정)에 포함된 불경의 하나이다. 삼성미술관 리움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

『불설사십이장경(佛設四十二藏經)』은 인도에서 중국에 전한 초기 경전의 하나로서, 후한(後漢)의 가섭마등(迦葉摩騰)과 축법란(竺法蘭)이 함께 번역한 것이다. 불교의 요지를 42장으로 나누어 간명하게 한 것이며, 우리나라에서는 학문승(學問僧)들의 지침서로 활용되었다.

『불조삼경』(보물, 1981-1 지정)에 포함된 『불설사십이장경』 판본은 1361년(공민왕 10) 전주원암사(圜巖寺)에서 행심(行心)의 발원(發願)으로 법공(法空)과 윤선(尹善)이 함께 간행한 것이다. 자체로 보아 원판본(元板本)의 번각(飜刻)임을 알 수 있다. 이 계통의 중각본(重刻本)이 몇 종 전래되고 있는데, 그 중 이 책이 가장 고색창연하다.

『불조삼경』(보물, 1981-2 지정)에 포함된 『불설사십이장경』판본은 1384년(우왕 10) 지봉(志峯)·지도(志道) 등이 시주(施主) 김씨와 함께 중간하고 이색(李穡)의 발문을 붙인 것이다. 자체로 보아 송본(宋本) 계통의 번각이며, 글자 새김이 정교하여 인쇄가 선명하고 해가 오래되어 책지가 고박하다.

개판(開板)되자 바로 인출해낸 것으로 여겨진다. 위의 두 판본에는 인도의 구마라습(鳩摩羅什)이 번역한 『불유교경(佛遺敎經)』과 당나라 영우(靈祐)가 저술한 『위산경책(潙山警策)』이 합철되어 있다.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