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아 ()

목차
불교
개념
불사리 가운데 부처의 치아를 가리키는 불교용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불사리 가운데 부처의 치아를 가리키는 불교용어.
내용

주로 불탑(佛塔)에 봉안하여 신봉하였다. 부처의 치아는 40개였다고 하나 이 가운데 어금니가 크게 신봉의 대상이 되었다.

≪삼국유사≫의 기록에 의하면 851년(문성왕 13) 견당사(遣唐使) 원홍(元弘)이 당나라에서 부처의 어금니를 가져왔다고 하며, 1119년(예종 14)에는 입공사(入貢使) 정극영(鄭克永)·이지미(李之美) 등이 불아를 가지고 와 내전에 봉안하기도 하였다.

뿐만 아니라 이보다 앞서 신라의 의상(義湘)이 도당(渡唐) 당시 도선(道宣)으로 하여금 천제(天帝)로부터 빌려오게 하였다는 불아는 그 뒤 고려의 사절이 송나라에 건너가 뇌물을 주고 몰래 가져와서 십원전(十員殿) 왼쪽 소전(小殿)에 봉안하였다고 한다.

이로 인해 예종이 크게 기뻐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이때의 불아는 여러 겹의 함에 싸서 보관되었고 도난당하는 불상사가 있었으나 다시 회수되어 십원전의 중정(中庭)에 불아전(佛牙殿)을 새로 지어 보관하는 등 그 치성이 대단하였다. 불아는 대구광역시 동구의 동화사(桐華寺)와 강원도 고성군의 건봉사(乾鳳寺)에도 있다.

참고문헌

『삼국유사』
「신라시대 탑파사리장엄에 대하여」(장충식, 『백산학보』 21, 1968)
집필자
장충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